가야금산조·병창 예능보유자 지정
1986년 남원춘향제 전국명창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안 명창은 제25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93), 옥관문화훈장(1999), 서울시문화상(1999) 등 굵직한 수상 경력을 갖고 있다. 그는 국민의 사랑을 받는 아름다운 국악인이다.
안 명창은 언제나 판소리를 하고, 국민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그래서 국민들은 그를 ‘판소리 인간문화재’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안 명창은 몇 년 전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 공연에서 무대를 꽉 채운 100여명의 가야금 병창단 중심에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가야금을 켜며 노래했다. 그는 판소리 뿐만 아니라 가야금병창도 매우 잘하는 것이다. 그는 판소리가 아닌‘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이다.
안 명창의 행적을 보면 판소리에 대한 애정이 짙게 드러난다. 아마 그가 판소리가 아닌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가 된 데는 사연이 있는 것 같다.
안숙선 명창의 스승은 만정 김소희 선생이다.
고창 흥덕이 고향인 김소희 선생은 ‘국창’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명창’으로 불릴 만큼 근현대 판소리계를 휩쓴 여류 명창이다. 만정 선생은 부부 국악인이었다. 전남 담양군 창평면이 고향인 남편 박석기는 거문고 산조의 명인으로 알려진다. 일제시대 고향인 창평에서 서편제 명창 박동실을 후원했다. 당시 박동실에게서 판소리를 배운 제자들이 김소희 선생을 비롯해 장월중선, 한애순, 한승호, 김동준, 박귀희 등으로 알려진다.
박석기는 19세기 말 거문고 산조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지는 백낙준에게서 거문고 산조를 배웠고, 한갑득에게 전수했다. 한갑득은 1938년 서울에 올라가 거문고 연주가로 명성을 쌓았다.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를 남겼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판소리를 익힌 김소희는 일취월장, ‘국창’으로 추앙될 만큼 판소리계의 거목이 됐다. 청출어람격으로 그의 제자 안숙선, 신영희, 박윤초 등은 현대 판소리계를 주름잡고 있다. 쟁쟁한 소리꾼들이다.
무형문화재 판소리 예능보유자 돼야
그러나 만정의 소리를 공식적(?)으로 물려받은 제자는 딱 한사람이었다. 많은 제자들의 소리가 높은 경지에 올라 있었지만,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예능보유자 지정은 1명 뿐이었다. 그 제자가 박윤초 명창이었다. 박윤초 명창은 김소희 선생의 딸이다. 부모의 예술적 기질을 모두 타고난 듯 박 명창은 판소리, 가야금병창, 전통춤 등 많은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자랑한다. 그는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예능보유자가 되는데 모자람이 없는 국악 예술인이다.
어쨌든 판소리 명창 안숙선씨가 판소리 인간문화재가 아닌 것은 의아스러운 일이다. 현대 소리판에서 최고봉으로 맹활약하고 있지 않은가. 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이 최고의 판소리 명창으로 알고 있지 않은가. 안 명창에 대한 판소리 인간문화재 지정은 당연하다. 판소리 본고장 전북이 챙길 일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