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토탈관광 위해 스토리를 만들자

전통·문화·역사 연계 보고 맛보고 머물면서 이야깃거리 명품화를

▲ 소성모 NH농협은행 전북본부장

오늘 이야기는 고창 출장길에서 시작해볼까 한다. 고창은 이야깃거리가 풍부한 대표적인 지역이다.

 

유네스코에 인류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석기시대의 유물인 ‘고인돌’에서부터 근대사의 아픔인 동학혁명의 발상지 ‘무장읍성’과 그 주변, 조선시대 전형적 성의 형태를 보존하고 있는 ‘모양성’, 근대 정치·경제면에서 큰 획을 그었던 인촌 선생과 한국적 전통과 심미를 노래했던 미당 선생, 판소리를 근대적으로 체계화한 신재효 선생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고, 불교계의 총림으로 지정될 도솔산의 선운사, 농업농촌의 어메니티를 관광 상품화한 청보리축제 등 참 많다.

 

그렇다. 우리고장은 이야깃거리, 볼거리가 많다. 가는곳 마다 전통과 문화, 역사가 어우러져 한국적 정서에 가장 근접한 수많은 명소와 그에 관한 이야깃거리가 사방에 있다.

 

우선 자연환경도 조선 팔도 중에 지리산, 덕유산, 내장산, 변산 등 국립공원이 제일 많다. 내륙의 수계도 가장 한국적 수변경관을 철 따라 자랑하는 섬진강, 무진장의 내륙산간을 굽이쳐 흐르는 계곡 중심의 금강, 전형적인 평야 지대의 강인 만경강, 그리고 한국 유일의 유역변경식 수원을 갖고 있는 동진강 등 참 특색이 많고 오밀조밀하다

 

둘째,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가는 곳 마다 문화적 역사적 스토리가 많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이 산재한 익산, 판소리의 주 무대인 지리산과 남원, 임진왜란 3대첩에 가려져 알려지지 않았던 웅치, 이치전투, 동학혁명과 한국전쟁이 남긴 비극적인 스토리의 많은 장소와 장면들, 그 지역을 대표하는 수많은 먹거리 등 등.

 

오죽 여러 가지가 잘 어우러지면 우리 도에서만 영화를 300편 이상 촬영했을까! ‘아름다운 시절’의 장군목, ‘장군의 아들’의 군산근대문화거리, ‘8월의 크리스마스’의 초원사진관, ‘광해’를 찍은 한옥마을 등 참 많다.

 

셋째, 우리의 전통보존 능력이다. 전국 어디에 가든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현대 속에서 한국적 ‘어메니티’를 가장 잘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이 우리 고향 사람들의 DNA라고 본다.

 

그것이 한옥마을의 부활이고, 전주비빔밥을 상업화 시키지 않고 전주에 와서만 먹게 하는 우리만의 고집과 자부심이라면 이상할까?

 

그런데 약간의 문제가 있다. 우리는 우리가 사는 고장, 이웃의 가치를 보통 흔하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거기 언제나 있으니까!

 

태어날 때부터 존재했으니까!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토탈관광이 명품이 되기 위해서는 스토리가 필요하다. 사람의 오감을 자극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여기 사는 사람들이 만들어야 한다. 지도자의 리더십과 환경적 조건은 이미 갖추어졌다고 본다. 이제 참여자들이 명품을 만들기 위해 이야깃거리를 만들고 브랜드화하는 의식이 절대 필요하다.

 

‘겨울연가’라는 한 편의 드라마로 남이섬과 서울중앙고등학교, 춘천의 촬영지에 천만이 넘는 일본, 동남아시아 관광객을 끌어들였지 않은가!

 

예를 들면 13개 시·군의 먹거리패키지에 음식을 직접 만드는 체험패키지를 추가시키고, 남원에서 춘향의 판소리를 정읍에서는 동학을 오페라와 뮤지컬로 365일 관람할 수 있는 예술패키지를 만들고, 참할게 많다.

 

토탈관광은 보고, 맛보고, 머물면서 체험하는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본다.

 

우리 세대의 추억거리를 전통으로 만들고, 우리 자식들에게 역사로 물려주려면 이야깃거리를 만들고, 그 이야기를 명품화하는게 우선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전북과 각별…황석영 소설가 ‘금관문화훈장’ 영예

정부李대통령 지지율 63%…지난주보다 6%p 상승[한국갤럽]

사건·사고김제서 작업 중이던 트랙터에 불⋯인명 피해 없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오지마"…군산대 교직원 58% 이전 반대

정치일반울산 발전소 붕괴 매몰자 1명 사망…다른 1명 사망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