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들 비판받아 마땅 / 지역 에너지 극대화 위해 단체장 정례 워크숍 필요
얼마전 발표된 ‘2015 도민의식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자손들이 전북에 살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 45.1%가 아니라고 응답했다.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44.1%가 그렇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북애향운동본부가 19세 이상 도민 7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내용이다.
한마디로 전북은 뿌리 박고 살만한 곳이 못된다는 반응이다. 도민 절반 가량이 이런 생각을 갖고 있다는 건 보통 문제가 아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고 삶의 질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실은 그렇다 치더라도 미래가 보장된다면 인내할 수도 있다. 그런데 미래도 부정적이었다. ‘10년 후 어느 정도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느냐’는 질문에 74.6%가 지금과 별 차이 없거나, 여전히 타 지역보다 뒤떨어질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런 사실에 화가 치민다. ‘지역발전을 위해 매진하겠다’ ‘지역은 내가 책임지겠다’며 표를 구걸했던 정치인들 때문이다. 그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어쩌다 전북이 이렇게 됐는지를 생각하면 허탈하다. 허공에 주먹질이라도 해대야 속이 풀릴 판이다.
삶의 질, 소득, 일자리, 취업, 교육, 기업유치, 지역발전 등의 현안은 모두 정치의 영역이다. 지역의 정치리더들에겐 현안을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여 지역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 가야 할 책무가 주어져 있다. 국회의원과 단체장, 지방의원이 그들이다.
정치인들은 최선을 다했다고 강변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결과로서 나타나지 않는다면 무위(無爲)나 마찬가지다. 열심히 했다는 것만으로는 면죄부를 받을 수 없다.
독일의 정치철학자 막스 베버는 ‘소명으로서의 정치’에서 정치인은 신념윤리와 책임윤리를 함께 가져야 하고 아무리 힘들더라도 이 신념을 현실세계에서 이뤄내야 한다고 했다.
정부나 자치단체를 책임지는 위치에 있는 정치인이라면 성과물을 내놓아야지 최선을 다했다는 것만으로는 면피할 수 없다는 뜻이겠다. 한 때 전북을 책임졌거나, 현재 책임지고 있는 정치인들에게 딱 들어맞는 언명이다.
그런 점에서 떠나고 싶은, 황무지 같은 유산을 물려준 전북의 정치인들은 비판 받아 마땅하다. 그렇다고 마냥 기성 정치권 탓만 하고 있을 수도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천착하는 것이 생산적, 교훈적일 것이다.
우선 도민의 실리의식이다. 정치적 사안이나 경제적 행위 등에 대해 실리적으로 판단하고 선택하는 일이다. 어떤 방법이 지역이익과 발전에 도움 되는가를 기준으로 삼아 판단하자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정치적 경쟁구도다. 라면가게가 하나 있을 때보다는 여러 곳일 때 고객 서비스가 높아지듯, 정당 간 경쟁구도가 형성되면 지역과 도민에 대한 정치서비스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집권 교체 시에도 유효한 틀이다.
다른 하나는 소프트웨어다. 전북의 실정에 맞고 미래 부가가치 높은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일이다. 미래 ‘먹거리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대기업연구소와의 연계 및 교류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투자정보와 인적 자원을 선점하는 효과도 있다.
응집력도 관건이다. 국회의원들 간에 응집력이 없다는 지적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숫자도 적은 마당에 ‘각개 전투’ 식이라면 존재감도, 영향력도 반감되고 말 것이다.
도지사 시장 군수 워크숍 정례화도 필요하다. 넥타이, 허리띠 풀고 1박2일 정도 머리를 맞댄다면 아이디어와 정보 교류, 인적 네트워킹 등을 통해 지역의 고민과 현안을 해결하고 지역의 에너지를 극대화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