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의 역량이 국가 흥망 좌우
우리는 좋은 CEO를 가진 조직이나 공동체는 흥하고 그렇지 못한 조직이나 공동체는 쇠하게 됨을 종종 본다. ‘우리가 속한 조직이나 공동체를 지켜나가고 흥융시킬 수 있는 좋은 CEO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여기서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역량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공식 하나를 인용해 보기로 한다. 힘(Power) = 의지(Will)×전략(Strategy)×능력(Capability), 즉 P = W×S×C 의 공식이다.
필자는 CEO의 덕목을 이 공식에 걸맞게 그 조직이나 공동체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지도력으로 정의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W는 CEO의 공인성(公人性)과 자기희생정신을, S는 올바른 비전(Vision)과 계획을, C는 그 비전을 실천해 가는데 있어서 주어진 인적 물적 자원과 여건을 효율적으로 배분·이용하는 지혜와 열정으로 풀이 해본다.
예를 들어 어느 가장이나 군수·시장 CEO가 또는 회사 사장이나 정치권의 어떤 지도급 CEO가 또는 학교선생님이나 군대 지휘관 CEO가 공인성을 잃고 아무런 전략도 없이 사리(私利)를 탐하거나 나태하게 운영한다면 그 가정, 그 시·군, 그 회사, 그 학급의 학생, 그 군부대가 허물어질 수밖에 없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지 않겠는가? 최근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대우조선의 경우, 그 회사의 사장인 CEO가 공인성을 망각하고 사리를 추구하다 못해 비전이나 전략은커녕 분식회계 등으로 직원들과 나눠먹기 잔치를 벌였으니 호미를 막을 부실을 가래로도 막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지 않았는가?
또 타이타닉호 선장CEO는 공인성을 인식하고 자기희생을 무릅쓴 결과 많은 인명을 구한 반면, 세월호 선장CEO는 공인성을 망각하고 자신의 목숨을 구하고 수많은 어린 학생들을 희생의 제물로 받쳤다. 시야를 조금 넓혀 국운을 가늠하는 예를 보자. 조선의 고종황제와 일본의 명치천황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나이로 국가경영의 CEO자리에 오른다. 하지만 고종CEO는 세계사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비전이나 전략도 없이 국권상실의 비운을 맞았고, 명치CEO는 근대화 비전을 제시하여 국운을 융성시켰다.
난국을 통합·조정할 지도자 절실
또 남북한을 보자. 남한의 국가CEO들은 갖가지 흠결과 굴곡은 있었지만,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비전을 지켜나감으로서 세계 10위권의 대국을 이루었고, 북한 정치CEO들은 역사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김씨 왕조의 세습이라는 사리를 추구한 나머지 북한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 시켰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모순과 갈등이 연속되고 있는데, 난국을 통합·조정하고 이끌어갈 CEO가 절실히 요망되는 시기이다. 필자세대의 기억에는 치욕적인 일제 강점기 생활, 전쟁의 참상, 그리고 배고팠던 청소년시절의 기억들이 생생하게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부끄럽던 세월이 후손들에게는 되풀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오늘 모든 분야의 CEO들은 제자리에서 각자의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전선기 전 대표이사는 전주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에서 북한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한국산업은행 인사과장과 외자과장을 역임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