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은 40도가 넘는 고열과 함께 의식이 흐려진다. 피부는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빨갛게 달아오르며 두통, 어지럼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40도가 넘는 고열은 체내의 효소 활동에 장애를 일으키게 되어 뇌병증, 신부전, 횡문근융해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중한 상황을 초래한다. 알코올이나 카페인 등의 섭취, 약물 복용, 고령 등에서는 체온을 내리는 기능이 약해지고 탈수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열사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근육을 많이 쓰는 일, 두꺼운 옷을 입고 하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도 위험군에 속한다.
환자를 발견하면 구급대에 즉시 신고하고 기다리는 동안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긴 후 옷을 시원한 물로 적시고 바람을 쏘여주어 체온을 떨어뜨리도록 해야한다. 의식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음료를 마시게 해서는 안된다.
일사병이라고도 하는 열탈진 역시 심한 형태의 온열질환이며 응급상황이다. 열사병보다는 체온이 덜 오르는 상태로 체온은 40도 이하이며 땀을 과도하게 흘린다. 과도하게 땀을 흘림으로써 수분과 전해질이 부족하게 되며 이에 따른 심한 탈수 증상으로 피로와 함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얼굴이 창백해지거나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가 나오기도 한다. 즉시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하고 스포츠 음료나 주스, 소금물(물 1리터에 소금 1티스푼 정도 섞은 것) 등을 마셔 탈수를 교정해야 한다.
열실신은 뜨거운 곳에 노출된 상태에서 체온 하강을 위해 혈관이 확장되면서 발생한다. 그 결과 혈압이 떨어지면서 머리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얼굴은 창백해지고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의식을 잃는 경우도 있다. 시원한 곳으로 옮겨 눕히고 다리를 올려 놓는다.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 음료를 마시도록 한다.
열경련은 과다한 활동으로 많은 양의 전해질과 수분을 잃게되어 생기는 근육 경련이다. 복근이나 팔, 종아리의 근육에 경련이 일어난다. 땀을 많이 흘린 후에 전해질이 없는 물만 마시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스포츠 음료나 칼륨이 많이 들어있는 과일 등을 먹어 예방하도록 한다.
열부종은 혈관 확장으로 인해 사지가 붓는 상태로, 전해질보다 수분 소실이 심하면 부종이 심해질 수 있다. 시원한 장소에서 부어있는 부분을 높인 자세로 쉬도록 한다.
열발진은 흔히 말하는 땀띠로 더위에 의한 심한 발한으로 생긴다. 땀샘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에서 발생하기 쉽다.
위에 열거한 여러 온열질환들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 할 것들이 있다. 온열질환은 50세 이상 연령에서 빈발하고 작업 중 많이 발생한다. 폭염주의보, 경보 등이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12시~17시) 활동은 줄이도록 하며,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폭염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음주와 다량의 카페인 섭취는 탈수를 유발하므로 작업 전에 과다한 섭취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하므로 특히 유의해야 한다.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며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또한 증상이 발생했을 때 혼자 처치하기가 어렵고 주위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온열질환의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는 절대 혼자 일을 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