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라 터진 교육계 사건 법대로만 외치는 교육감 인간다운 지도자 덕목을
그런데 더 충격적인 것은 이 사건들에 대한 전북 교육당국과 김승환 교육감의 상식을 벗어난 납득할 수 없는 태도와 발언이다. 김 교육감은 최근 부안여고 교사의 유가족을 만나 한마디로 ‘억울하면 법대로 하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는 교육계 수장으로서 교육 가족에 대한 최소한의 도의적 책임에 따른 유감 표명과 유족들에 대한 위로와 사과를 예상했던 도민들의 기대를 저버린 행동이었다는 평가다.
이전에 있었던 교사 자살 사건에서도 김 교육감과 교육당국은 유족에게 ‘잘못한 것이 없으니 법대로 처리하자’는 방식으로 사건을 대했다. 심지어는 “더 밝혀지면 다친다”며 고인의 명예를 깎아내리며 유족을 협박하는 듯 한 입장을 언론에 흘리기도 했다.
지도자면 자신이 관할하는 집단에서 대형 사건과 사고가 발생했을 때 큰 틀에서 대도민 사과나 유감 표명을 먼저 한 후에 행정의 잘못이 있다면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책과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지도자의 덕목이다. 하지만 필자는 김 교육감이 단 한 번이라도 유사 사건에 대해 기본적이며 상식적인 행동이나 입장을 보여줬던 사실이 기억나지 않는다.
김 교육감은 고인의 빈소에 조문한 적도 없으며 겨우 교육청 직원이 문상을 다녀갔다.
사실 헌법학자인 김 교육감은 오래전부터 법을 맹신하면서 모든 일을 ‘법·법·법’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법은 알다시피 전통과 문화, 역사, 관습의 하위개념이다. 윤리와 도덕에 우선할 수 없다는 얘기다. 또 실정법이 가진자와 권력자에 유리하다는 것 쯤은 세 살배기도 다 안다. 국민 대다수가 여전히 법은 서민이나 시민의 편이 아니라고 여기는 게 우리가 사는 현실이기도 하다. 법이 만사를 해결하는 만능열쇠가 아니라는 뜻이다. ‘무릇 사람이 동물과 다른 점은 예의와 수치를 안다는 데 있다’는 성현의 말씀이 떠오른다. ‘자비와 사랑, 측은지심’은 인간이 인간다우며 짐승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최근의 사태를 보면 김 교육감의 과거 행적이 오버랩된다. 김 교육감과 관련 “상주인데 젊어서 자신에게 상처를 줬던 친아버지 상에도 가지 않았다”는 익산 어르신들의 기자회견, 고향이 광주인데 익산으로 바꿔 말한 사실, 전북대 법대 교수 임용 당시 동료 교수들이 논문 등을 문제 삼아 거의 한 학기 동안 임용 철회를 주장했던 사실, 장로로서 교회 분규에 적극 가담해 목사를 비판했다가 신도들에게 폭행당해 입원했던 일 등이 언론에 보도되고 도민 사이에 회자됐다.
필자는 김 교육감이 출마해 당선이 된 뒤에는 이 모두가 과거의 일이기에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일련의 사건, 사고에 대한 김 교육감의 대응방식을 보노라면 개인사에 따른 트라우마를 아직도 극복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안타깝다. 그러나 현재 김 교육감은 개인이 아니라 공인이자 전북 교육계의 수장인 이상 개인의 과거사에 영향을 받아 행정을 펼치면 안된다.
김 교육감의 임기는 아직도 적지않게 남아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정 농단 사건으로 탄핵되기 전까지 ‘다음 대선은 왜이리 오래 남았나’하며 절망감에 빠졌던 적이 있다. 요즈음 김 교육감을 보면서 비슷한 생각에 잠기는 게 필자만의 상념일까?
그럼에도 김 교육감이 남은 임기 동안 사람과 동물을 구별짓는 ‘인간다움’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전북교육의 아픔과 성처를 치유해주길 기대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