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조선업 호황과 군산의 눈물

권순택 논설위원

한국의 조선업 수주량이 2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하면서 다시 호황기를 맞고 있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별 선박 수주실적 집계 결과, 한국이 세계 선박 발주량 2529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 중 37.3%인 943만CGT를 수주해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우리와 선두 경쟁을 벌였던 중국은 855만CGT로 2위로 밀려났고 3위는 일본(328만CGT), 4위는 이탈리아(114만CGT)가 각각 차지했다.

한국은 2018년에도 세계 선박 발주량의 42%인 1090만CGT, 237척을 수주해 중국(874만CGT)을 제치고 7년 만에 세계 1위를 탈환했다. 한국은 지난해 대형 LNG운반선 발주물량 51척 중 48척을 싹쓸이했고 초대형 유조선 31척 중 18척, 초대형 컨테이너선 36척 중 22척을 수주하면서 고부가가치 선박에서 우위를 점했다.

올해도 국내 조선업은 장밋빛이다. 글로벌 선박 발주물량 증가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을 통한 수주 경쟁력 제고 등으로 국내 조선업 수주물량이 지난해보다 20% 정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현대중공업그룹은 올해 수주 목표치를 159억 달러로 지난해 달성액 122억 달러보다 30% 높게 설정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지난해 달성액보다 20% 정도 늘려 목표치를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조선업이 활황을 띠면서 조선소가 밀집한 울산 동구의 조선업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2018년 4만6915명에서 지난해 11월 4만8077명으로 1162명이 증가했다. 울산지역 아파트매매가격지수도 지난해 3분기에 30개월만에 상승세로 반전했고 개별공시지가도 오르고 주택재개발사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재가동을 약속했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2년 7개월째 도크는 텅 비었고 골리앗크레인은 멈춰 서 있다. 전북도와 군산시가 수없이 재가동을 촉구했지만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다 지난 연말에야 재가동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대통령과 총리까지 나서서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약속했지만 현대중공업 측은 아직 요지부동이다.

군산의 조선산업 생태계가 무너짐에 따라 협력업체들은 정부의 조선기자재 업종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실낱같은 기대를 걸고 있다. 다시 호황을 누리고 있는 현대중공업은 전북도민의 염원을 져버리지 말고 하루속히 군산의 눈물을 닦아줘야 마땅하다.

권순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