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산업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운수업 분야도 침체를 벗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그 가운데 전세버스 업계가 받는 충격은 치명적이다. 원격수업으로 학생들의 통학이 중단되고, 수학여행 및 체험학습등 일정이 모두 취소됐으며, 내외국인들의 관광운행 역시 완전히 중단된데서 비롯된 현상이다. 전세버스 업체들의 줄도산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원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도내의 경우 올해 1월부터 8월말 까지 94개 전세버스 업체의 차량 가동률은 지난해 대비 79%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월 피해액 만도 2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가을 행락철 성수기 까지 포함하면 손실은 더욱 큰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버스 가동률이 줄면서 휴업을 신청하는 버스가 크게 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 김상훈의원이 밝힌 ‘시도별 전세버스 휴업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북의 전세버스 휴업 신청은 601대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 제주(1059대), 경북(969대)에 이어 3번 째로 많다. 지난해 137대 보다 5배 가까이 늘었으며, 휴업 신청이 한 대도 없던 2018년 과는 크게 대비를 보이면서 도내 전세버스 업체의 혹독한 어려움을 극명히 보여주고 있다.
전세버스 업체는 버스를 운행하지 않더라도 매달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업체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차량 구입 할부금이 보통 1개월에 1000만원을 넘고, 임대료등 사무실 운영비와 기사 인건비를 업체가 부담해야 한다.
상황이 이같이 악화돼 있으나 정부 차원의 지원은 거의 전무하다 시피 한 실정이다. 심지어 전세버스 운전자들이 개인 사업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정부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조차 빠져 있다. 정부가 일부 전세버스에 대한 차령(車齡) 연장 조치 및 전북도가 지자체 차원에서 운전기사들의 고용유지를 위해 지원금을 지급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정도가 고작이다,
근근이 버티고 있는 전세버스 업계를 이대로 방치하면 대부분 업체들이 회생 불가능한 상태로 내몰리는 것은 시간 문제다. 정부는 업종의 존속과 종사자들의 일자리 유지를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책을 마련 시행하기 바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