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확정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 전북에서 건의한 전주~김천 등 6개 사업이 반드시 반영되도록 전북도와 정치권이 함께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철도망 구축은 국가와 지역발전의 근간이 되는 핵심 교통물류 SOC로서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됨에 따라 정부 계획에 포함되어야만 전북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새만금을 연결하는 내륙철도 수송체계가 구축되어야 항공 항만과 연계한 새만금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건의한 전북관련 철도사업은 모두 6건이다. 전주~김천 동서횡단 철도를 비롯해 전라선 고속화,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선, 대구~광주 달빛내륙철도, 새만금~목포 철도건설, 익산역 유라시아 철도 거점역 선정 등이다.
이미 20년 전부터 건의해온 전주~김천 동서횡단 철도는 동서 교류 활성화뿐만 아니라 경제적 타당성도 충분히 입증됐다. 국가교통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교통분석원 등의 자료분석 결과를 보면 여객 수요도 충분한 데다 새만금개발사업이 완공되면 승객과 화물 수송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저속철이라는 오명을 쓴 전라선 KTX의 고속화도 시급하다. 개통 당시보다 관광객 등 수요폭발로 이용객이 2배 이상 늘었지만 열차 운행 속도가 경부선이나 호남선에 비해 크게 떨어져 승객들의 불만이 높은 만큼 이용객 편익증진과 국토 균형발전 차원에서 전라선 고속화가 필요하다.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완주산단의 효율적인 물동량 처리를 위한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선과 호남권 서해안 철도망을 구축하는 새만금~목포 철도건설 등도 꼭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4차 국가철도망 반영 활동에 전북이 적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타 지역은 광역·기초자치단체장과 정치권이 함께 토론회 개최를 통해 이슈를 선점하고 공동대응협약과 건의문을 채택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에 나서고 있다.
전북도와 정치권은 전북관련 6개 철도사업의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에 발 벗고 나서야 한다. 치밀한 대응 논리와 당위성을 발굴하고 다른 지역과의 전략적 연대와 협력을 통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꼭 포함시켜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