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 180만명 붕괴가 눈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달 말 기준 전북 지역 총 인구는 180만1319명으로 지난해 180만4104명보다 3000명 가까이 줄었다. 전북 인구 180만명 붕괴를 오는 2035년 쯤으로 예상했던 3년 전 전북도의 장래 인구 예측에 비해 15년 가까이 빨라졌다. 인구 감소는 지역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고령화는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 생산활동을 할 젊은층이 줄어들면 지역경제 악화로 이어지고 인구 유출의 악순환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전북 지역 순유출 인구는 8000여명에 달한다. 우려스러운 것은 전출 인구 가운데 20대~30대가 1만명을 넘는다는 점이다. 진학과 취업을 위해 전북을 떠나고 있는 젊은층 인구가 갈수록 늘고 있다. 학생수 감소도 우려스런 대목이다. 올해 전북지역 초·중·고교 학생수는 지난해보다 4000명 이상 줄었다. 지난 5년간 매년 6000명~7000명씩 줄고 있다. 초·중·고 학생수 감소는 도내 대학들의 신입생 모집 어려움으로 이어지고 있다.
낮은 출산율도 걱정이다. 지난해 전북의 합계출산율은 0.91명으로 도 단위 광역자치단체 중 경기도 0.88명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전북의 합계출산율은 3년 연속 전국 최하위권이다. 전주와 익산, 군산을 제외한 도내 모든 자치단체는 이미 인구 감소로 인한 소멸위기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인 셈이다.
문제는 전북이 처한 위기 상황을 극복할 뚜렷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장려금 정도로 출산율을 높이기 어렵다. 출산 이후의 보육과 교육 문제 등으로 2030세대는 결혼과 출산을 필수로 생각하지 않는다. 안정적이고 질 좋은 일자리, 교육·문화·의료·복지 등 정주여건 향상 없이는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없다.
현재 처해 있는 어려운 난제들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 군산조선소 재가동 등 현안은 꽉 막혀있고 지난 반세기 동안 도민들을 희망 고문한 새만금 완성은 앞으로도 반세기를 더 기다려야 한다. 인구 감소는 전북 만의 문제가 아니고 지방 정부에게만 책임을 지울 수 없다. 그렇다고 지역 정치권이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도 없다. 전북도와 정치권은 인구 감소 대책 마련에 더욱 분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