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주시 고용률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청년고용률이 크게 떨어진 것은 우려스러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청년고용률이 격감한 것은 그만큼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 결과로써 청년층의 유출요인으로 작용하고 결국 인구 감소와 지역 활력 상실, 지역 소멸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전주시 고용률을 보면 지난해 15세~64세 고용률은 62.9%로, 전년보다 0.9%포인트 감소한 데다 목표 고용률 63.9%에도 1%포인트 미달했다. 특히 15~29세 청년고용률은 30.3%로 전년보다 2.7%포인트나 격감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기가 악화하면서 기업 채용이 위축되고 개인·서비스업 등의 고용이 감소한 결과다.
사실 청년 고용률은 전라북도가 전국에서 가장 낮다. 전라북도의 청년고용률은 30% 선에 불과해 전국 평균치보다 12%포인트나 낮다. 강원도나 전남보다도 10% 이상 크게 뒤떨어진다. 이처럼 청년 일자리가 없다 보니 해마다 1만여 명에 달하는 청년 인구가 전북을 등지고 있다. 전주시도 지난해 청년 인구수는 13만520명으로, 전년도 13만2613명 보다 2100명 정도 줄어들었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 수도 3만9000명으로, 전년도 4만2900명보다 3900명이나 감소했다.
청년 고용률 감소와 청년 인구 유출의 악순환은 매우 심각한 문제다. 청년 일자리가 없어 청년들이 떠나면 인구 감소에다 출산율까지 뚝 떨어져 인구절벽 사태를 초래하고 지역 소멸로 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전주시의 청년 일자리 창출이나 청년 고용대책을 보면 임시변통 수준에 불과하다. 공공업무지원이나 방역지원, 환경정비 등 아르바이트 수준의 단기 일자리나 임시적 일자리가 대부분이다.
최고의 청년 정책과 청년 복지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안정적이고 삶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떠나가는 청년층을 붙잡을 수 있다. 그러려면 유망한 산업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유치해야만 한다.
대단위 산업 입지가 부족한 전주시로선 어려움이 있겠지만 인접한 완주군과 익산시 김제시와 연계해서 광역 산업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초광역권시대를 맞아 크게 보고 멀리 내다보는 행정 마인드가 필요할 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