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이사장 김용진
 
   창의와 열정이 넘치는 효율적인 조직, 직원이 즐겁게 일하고 고객도 행복하게 만드는 조직은 모든 조직의 꿈이다. 과거에는 조직 구성원의 의식과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둬서 품질·고객·성과관리, 6시그마, 지식경영 등 최신 혁신기법을 도입하거나 성공한 기업들의 경영기법을 벤치마킹하는 것에만 치중하였다. 그러다 보니 조직 내에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고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거나 제자리를 맴도는 경우가 허다했다.
조직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제도변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조직 구성원의 일이나 업무에 대한 가치관과 일하는 방식, 문화가 함께 바뀌어야 한다.
성공적인 혁신을 위한 혁신기법의 하나로 ‘공간혁신’이 주목받고 있다. 아무리 창의와 협업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정작 직원이 생활하고 일하는 여건이 그대로라면 한계가 있다. 칸막이로 둘러싸인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사무실에서는 창의적인 사고가 나올 수 없으며 협업이 싹틀 리가 만무하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페이스북 본사는 부서를 나누는 벽이 없다. CEO의 방도 따로 없고 임원용 엘리베이터도 없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소통이 활발해지고, 어디서든 회의가 이루어진다. 뻥 뚫린 업무 공간이 생각의 장벽마저 자유로이 오갈 수 있게 한 것이다.
혁신이 문화로 승화되고 생태계로 자리 잡게 하려면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젖어 들 수 있도록 일하는 공간과 환경을 바꿔야 한다. 벽과 칸막이를 허물고 사무실이 유연하게 활용될 때 진정한 창의와 소통, 협업이 가능해진다.
칸막이를 허물어 생긴 여유 공간을 새로운 수요에 맞춰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언제나 소통할 수 있는 협업 공간이 확대되고, 독서와 토론이 가능한 휴게실을 비롯해 업무에 지친 직원들의 머리를 식혀주는 어매니티(Amenity) 공간까지 많은 것들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단순한 공간의 재배치가 아니라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업무 시스템 재구축 작업도 필수적이다.
과거 필자가 CEO로 잠시 몸담았던 한국동서발전에서도 공간혁신을 통해 일하는 방식과 함께 조직문화 변화를 추구한 바 았다. 고정된 장소에서 일하는 방식에서 탈피해 IT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스마트오피스를 활용해 부서 및 개인 칸막이를 제거해 고정 좌석제 대신 어느 자리에서든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유연 좌석제를 운영하였다. ‘내 자리’가 없다 보니 개방·공유·소통·협업을 위한 문화가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필자가 현재 CEO로 재직하고 있는 국민연금공단 본부도 지난 4월 글로벌 기금관 준공 이후 현재까지 협업과 소통이 원활한 ‘열린 공간’ 만들기에 한창이다.
코로나 19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증가, 시공간 제약이 없는 근무 형태 확산 등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간 재배치 작업은 단순한 장소의 이전이 아닌, ‘공간혁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공간혁신을 위한 노력은 더 이상 비용이 아닌 회사의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주는 투자로 인식되어야 한다.
국민연금의 공간혁신 노력이 직원들의 창의성 발휘와 협업을 촉진 시키고, 부서 및 직원 간의 소통과 협업이 조직문화로 자연스럽게 젖어 들어 궁극적으로 국민 행복을 더 높이는 것으로 귀결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김용진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