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1:4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몰카와 관음증

강인석 논설위원

삽화 = 정윤성 기자
삽화 = 정윤성 기자

1981년 제1회 MBC 개그 콘테스트에서 인기상을 받으며 데뷔한 개그맨 겸 방송인 이경규는 연예계에서 두 가지 기록을 갖고 있다. 유재석·강호동과 함께 지상파(KBS·MBC·SBS) 방송 3사의 연예대상을 모두 수상한 트리플 크라운 달성 예능인 3명중 한 명이자, 1990년대·2000년대·2010년대에 걸쳐 연예대상을 수상한 유일한 예능인 기록이다. 이경규를 1991년과 1992년 연속 MBC 연예대상 수상자로 이끈 코너는 몰래카메라 였다.

1991년 4월 MBC 예능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서 첫 방송된 이경규의 몰래카메라 코너는 시청률 70%를 넘길 정도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미리 꾸며진 황당한 사건을 만들고, 이런 사실을 모르고 속아 넘어가는 출연자의 반응을 재미와 웃음으로 즐기게 하는 몰래카메라의 성공은 다른 한편으로는 몰래카메라의 희생양을 만드는 코너이기도 했다.

이경규의 몰래카메라는 1992년 11월에 폐지됐다가 2005년 10월 ‘이경규의 돌아온 몰래카메라’ 시즌2로 부활했지만 2007년 11월 또다시 폐지됐다. 그해 “시청자의 눈길을 잡기위해 억지스럽고 가학적인 설정을 반복한 ‘돌아오지 말았어야 할 몰래카메라’”라는 민주언론시민연합의 혹평과 함께 ‘2007년 올해의 나쁜방송’으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몰카’는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촬영을 당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로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그런 방식이란 설명과 함께 국립국어원의 신어사전인 ‘우리말샘’에 까지 등재됐다. TV 방송에 몰래카메라가 등장한 지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는 관음증의 도구가 된 불법 몰카와 싸우고 있다.

몰카 범죄 확산에는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일정 부분 역할을 했지만 갈수록 기발해지는 초소형 몰카는 더욱 위협적이다. 지름 1㎜의 초소형 몰카는 안경과 볼펜, 물병과 거울, 어댑터, 콘센트, 리모컨, 화장품, 탁상시계, 의류, 수첩 등 일상용품속 곳곳에 자리잡았다.

지난달 말 경기도 안양에서는 현직 초등학교 교장이 여교사 화장실의 각티슈 안에 몰카를 설치한 사실이 적발돼 큰 충격을 줬고, 지난 1일 강원도 춘천에서는 60대 모텔 주인이 객실 한 곳에 몰카를 설치해 6개월간 투숙객들을 촬영해오다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그동안 적발된 몰카 범죄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몰카 영상 유포 피해자의 45.6%가 자살을 생각했고 이 중 19.2%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전주시는 지난 2일 여성가족과와 중앙·풍남·중화산1·효자5·덕진동 등 8개 동 주민센터에 몰카 탐지 장비를 갖춰놓고 시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주기로 했다고 한다. 행정이 탐지 장비 무료대여 정책에 나설 정도로 몰카 범죄는 일상이 됐다. ‘몰카 근절 전도사 이경규’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인석 kangis@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