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완주 통합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전주시장 후보마다 전주 광역도시 육성을 비전으로 내세워 완주와의 통합을 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완주군민을 설득해 통합할 것인지 구체적 방법은 후보들에게서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자칫 선거용으로 치부되면서 완주군민들의 거부감만 키우지 않을지 우려된다.
전주-완주 통합 필요성은 전북 발전 차원에서 정치권이나 도민들이 공감하는 사안이다. 광역시가 없어 그간 정부의 각종 정책과 지원에서 소외된 것이 결코 과거 일이 아니다. 현재 국가적 의제로 타 시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광역경제권과 메가시티 육성 전략 앞에서도 전북은 별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해 허둥대는 모습이다. 전주시만의 문제가 아닌 전북 전체의 눈으로 전주시의 광역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전주-완주 통합은 과거 3차례 시도에서 보여주듯 통합에 반대하고 있는 완주군민들에게 달려 있다. 결국 열쇠를 쥔 완주군민들이 통합 찬성으로 돌아서도록 하는 과제를 어떻게 풀 것인지 방법론에 있다. 완주군민들이 전주 통합에 소극적인 데는 기본적으로 통합에 별 매력이 없어서다. 전주시민으로서보다 완주군민으로서 누리는 혜택이 많다면 전주시장 후보들의 전주 광역화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전주시장 후보들이 막연하게 통합을 내세우기에 앞서 전주시의 내재적 발전을 꾀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완주군수 출마 예정 후보들은 기본적으로 통합의 당위성에 공감한다고 하면서도 군민들의 의견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유권자들의 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후보들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할 바 아니지만, 완주군의 미래와 주민들의 삶에 어떤 선택이 좋은지 분명한 입장을 보이는 후보가 나오지 않아 아쉽다. 전주-완주 통합은 전주 보다 완주군에서 공론화가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선거 때만 나오는 1회성 이벤트여서는 오히려 통합으로 가는 길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지역 정치권,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공론의 장을 만들어 숙성시킬 필요가 있다. 지선 후보들도 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해야 공약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