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라는 말은 일반 사람들은 자주 들으면서도 지금 현재 나와는 무관하다는 생각으로 지나쳐버리기 쉬운 말이다. 그러나 조금만 깊게 생각하면 이 말은 바로 오늘 나의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 기후 변화를 느끼며 살고 있다. 겨울에도 눈이 오질 않고 봄, 가을은 느낄 겨를이 없고, 여름에서 곧바로 겨울로 변하는 시대가 이미 되어 버렸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얼음과 눈이 녹고 토양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건조한 조건에서 산불이 예년에 비해 자주 발생하는 것을 보고 있다. 인위적 온실가스 증가에 의해 지구의 기온이 상승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정량적으로 맨 처음 제시한 사람은 스웨덴의 노벨화학상 수상자였던 스반테 아레니우스이며, 그의 이론은 현대의 기후변화 과학의 태동을 여는 중요한 발견이었다. 현재 지구는 온난화로 인해 세계 여러 곳에서 자연 재해가 일상이 되고 있고, 우리 모두 탄소중립이라는 전 지구적인 과제에 적극 동참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에 와 있다.
그린세대라 함은 환경 보호 운동에 적극 나서는 10대 후반-30대 초반 젊은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변화를 피부로 느낀 첫 세대로 환경문제와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알고 SNS와 개인 동영상을 통해 적극적인 환경 운동을 펼치고 있다. 그들은 기성세대의 안이함과 달리 기후위기의 결과를 온몸으로 겪어내야 하는 세대들이기에 각성은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지금이 아니면 내일은 없다. 기후위기! 지금 말하고 당장 행동하라” 고 외치고 있다.
그린세대의 이유 있는 외침, 그 시작은 스웨덴의 16살 소녀 그레타 툰베리였다. 툰베리는 2018년 8월 스톡홀롬 의사당 앞에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정책을 요구하며 1인 시위를 벌였고, 이 시위는 청소년들의 열띤 호응에 힘입어 ‘미래를 위한 금요일’이라는 기후파업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문화예술인들 중 그린세대들과의 연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 들고자하는 이들도 있다. “내가 가진 재능을 가지고 세상 곳곳을 아름답고 깨끗하게 만들고 싶다”며 산을 다니면서 생태정화 활동과 함께 재능기부를 실천하는 미술가가 있는가 하면 환경노래를 작곡해 보급하는 음악가도 있다.
필자가 이러한 기후변화 환경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1998년도와 2003년도에 알라스카 한국문화의 해를 맞아 기념공연에 참가하면서 부터이다. 당시 필자가 이끌던 錦林(비단숲)예술단의 작품은 자연환경에 대한 만물의 생성, ‘생동...林’이었다. 공연 후, 주최 측의 초대로 참가자들과 함께 배를 타고 빙하를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는데 아름답고 신비로움에 빠져있던 순간, 빙하 덩어리들이 녹아 떨어져 내려 모두가 지구온난화로 인한 재해를 우려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이러한 우려는 지금 현실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과 강, 바다, 습지 등 우리의 산하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만들고 더 나아가 핵이나 오염, 지구온난화 등으로 위기에 처한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린세대뿐 아니라 모두가 나서야 하지만 기업들의 RE 100 ‘재생에너지 (Renewable Energy)100%' 참여와 문화예술인들의 예술 활동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전 지구적인 과제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심가희 아트네트웍스 대표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