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주당의 지방선거 컷오프를 둘러싸고 당내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결과에 불복해 후보가 법원에 효력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가 하면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도 엇갈린 판단이 나오는 등 심사에 대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됐다. 심지어 막후 ‘보이지 않는 힘’ 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뒷배설까지 불거져 뒤숭숭하다. 이와 함께 후보를 검증 심사해야 할 위원회 구성부터 공정성 담보와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국회의원 위촉은 2년 뒤 총선 출마를 포석에 두고 코드에 맞는 인물을 알박기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부적절하다는 것. 중복으로 위원을 배정한 것도 인재풀의 한계를 노출함으로써 비난을 자초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 브로커가 개입해 선거판을 좌지우지 한다는 충격적인 폭로가 나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 브로커는 선거 조직과 자금을 미끼로 인사권과 사업 인허가권을 요구하고, 지지율 여론 조작도 휴대폰 주소지 변경을 통해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선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며 후보직을 사퇴했다.
그간 입소문으로만 떠돌던 정치권과 선거 브로커의 검은 커넥션이 세상에 드러났다. 불순 세력에 의해 지지율 여론 조작까지 이뤄졌다는 점에서 공천 방식의 재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다. 그렇지 않아도 지금 유권자들은 공천과 관련한 여론조사 전화에 시달리고 있다. 사실상 여론조사 지지율이 후보의 경쟁력을 대변한다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후보자 입장에서도 지지율 높이기에 혈안이 돼 있다. 극히 일부지만 브로커들이 여론조사 지지율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공신력에도 치명적 타격이 아닐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이번 사건의 파장이 공천 작업 중인 지방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선거 때마다 봇물을 이루는 여론조사에 대해 유권자들이 강한 불신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오죽하면 여론조사가 오히려 여론을 왜곡한다는 비아냥거림도 있다.
어쩌면 정당이 공천 혁신을 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해졌다. 여론조사에 대한 불투명한 의혹이 난무한 상황에서 이를 반영한 공천 방식은 손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텃밭을 자처한 민주당은 단체장의 경우 여론조사 50%와 권리당원 50% 합산 방식으로 공천이 이뤄진다. 지방의원은 권리당원 투표 100%로 결정된다. 지금까지 여론조사는 전적으로 주민 의사가 100% 반영된다고 해서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 그에 비해 기득권 세력의 농간인 양 비춰지는 권리당원 투표는 진입 장벽만 높임으로써 정치권 물갈이를 가로막는다는 비판에 시달려 왔다. 그런데 이젠 여론조사마저 선거 브로커가 개입해 민심을 왜곡한다면 이런 공천 방식을 통해 선출된 후보를 누가 신뢰할 수 있겠는가. 중차대한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사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정당의 환골탈태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김영곤 논설위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