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아, 대면 추석

image
김자연 전북작가회의회장

대면으로 맞은 추석이다. 그동안 거리 두기로 빼앗겼다 다시 찾은 추석이라 그런지 남다르게 느껴지는 건 나만의 심정일까. 음력으로 8월 15일 추석은 흩어져있던 가족이 모여 추수 감사의 제를 지내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 풍요로운 날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커지는 반월을 상징하는 송편을 먹으며 소원을 띄우는 날이기도 하다. 

추석을 명절로 지내기 시작한 것은 신라 때부터라고 한다.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길쌈놀이인 가배(嘉俳)라는 행사를 열었는데, 한가위 한 달 전 전국의 여인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베를 짰다. 그동안 짠 베를 전부 모아 상대편보다 더 많이, 더 고운 베를 내놓은 편이 이기는 것이다. 가배라는 베 짜기 명칭을 이후 한가위로 불렀는데 여기서 한은 “크다”, 가위는 “가운데”라는 옛말이다. 즉, 한가위 추석은 부족함을 크게 꽉 채우는 명절이다. 일상에서 지치고 힘든 마음을 위로와 감사, 이웃 간의 따스한 정으로 채우자는 것이다.

하지만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우리 고유의 추석 풍경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각지에 흩어졌던 혈연들이 모여 조상의 제의에 참여하고 정을 나누기보다 개별적 시간에 더 의미를 둔다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에게 추석이 뭐냐고 물으면 “학교 가지 않는 날”,“그냥 쉬는 날”이라는 대답이 나온다고 한다. 달라진 의식구조 속에서 명절에 대한 변화를 탓할 수만은 없다. 하지만 우리에게 명절은 “그냥 쉬는 날” 그 이상의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림 동화를 통해 새삼 추석의 의미를 되새겨 본다. 『솔이의 추석 이야기』(이억배), 『추석에도 세배할래요』(김홍신, 임영주), 『달이네 추석 맞이』(선자은), 『분홍 토끼의 추억』(김미혜), 『추석 전날 밤에』(천미진) 등은 전통적인 추석 이야기로 가득하다. 이중 『솔이네 추석 이야기』는 30-40년 전 우리의 추석 풍경을 잘 표현하고 있다. 솔이 가족은 할머니 집에 가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버스 정류장에서 긴 줄을 선다. 겨우 버스를 올라탔지만, 도로는 꽉 막혀 더디 간다. 어렵게 할머니 집에 도착하자 음식 냄새가 풍기고 친척들이 모여 이야기꽃을 피운다. 차례를 지낸 후 성묘에 다녀와 할머니가 싸준 추석 음식을 가지고 집으로 향한다. 밤늦게야 솔이네 가족은 집에 도착했다. 

교통이 꽉 막히고 고향 가기가 힘들어도 가족을 만나기 위해 대이동이 이루어졌던 이유는 무엇일까? 가족이라는 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따뜻한 정을 채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함께 음식을 나누며 감사와 나눔의 미덕, 고마운 덕담과 격려로 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 소외감과 외로움, 불안감을 호소하고, 사람 사이 소통의 어려움이 많아진 것도 가족 간의 단절, 공동체 의식의 결여에서 오는 것은 아닐까?

코로나 이후 대면으로 맞은 소중한 추석이다. 추석에는 우리 전통을 지키면서도 과하지 않는 추석맞이로 힘들었던 어제를 다독이고 위로가 넘치는 추석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렇게 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간소한 상차림과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모두에게 반갑고 기다려지는 추석이 되기 위한 성숙한 의식이 앞서야 할 것이다.

/김자연 전북작가회의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