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이태원 참사… 축제·행사장 안전점검하라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나선 안될 초대형 참사가 일어났다. 핼러윈 축제를 즐기기 위해 지난달 29일 이태원을 찾았던 젊은이들이 꽃 피워보지도 못하고 한순간에 시들어버렸다. 최소 154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숨지고 또 그만큼의 젊은이들이 큰 부상을 당했다. 세월호 참사 이래 최대의 국가 재난이다. 이번 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 만큼 도내 지역축제나 행사장 등에 대한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정부는 지난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일주일을 국가애도 기간으로 정했다. 참사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이제 사고 수습과 함께 책임을 규명하고 사고 원인을 밝힐 차례다. 비극적인 참사와 관련해 우리는 몇 가지 점을 돌아봤으면 한다.

첫째, 이번 참극은 예고된 인재였다는 점이다. 이번 참사가 일어난 곳은 너비 3.2m, 길이 40m의 경사진 골목이다. 이곳에 31일 핼러윈 데이에 앞서 28일부터 인파가 몰렸다. 사고가 난 29일은 토요일 저녁으로 정부에서도 10만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했다. 3년 만에 '노마스크'로 치러져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그럼에도 자치단체와 경찰은 손을 놓고 있었다. 기껏 경찰 137명과 소방대원 12명이 배치되었을 뿐이다. 한심한 안전 불감증이 아닐 수 없다. 대형 행사에는 미리 사람이 대거 몰릴 것에 대비해 정교한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게 당연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각종 행사나 해외 나들이가 봇물터지듯 늘고 있어 사전 대비가 필수적이다.

둘째, 핼러윈 같은 외국 풍습에 대한 인식 제고다. 핼러윈 데이는 당초 켈트족의 축제다. 이 축제가 한국에 들어와 MZ세대에게는 명절처럼 되었다. 더욱이 교묘한 상업주의와 결부돼 전국 놀이공원이나 쇼핑몰, 클럽, 영어학원 등에선 젊은이들을 크게 유혹한다. 이대로 가다간 우리의 풍습은 뒷전이고 서양에서 전래된 풍습이 안방을 차지할 전망이다. 자성과 성찰이 따라야 할 것이다.

셋째 이번 참사를 계기로 도내 각 지역에서 계획된 가을축제  등 대규모 행사에 대한 안전점검이 필요하다. 일부는 취소나 축소되었으나 축제가 시행될 경우 안전대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번 참사가 안전에 대한 뼈아픈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