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돌고 돌아 전주개발시대도래

image

그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질 못했던 전주가 발전의 전기를 맞았다. 그간 민선전주시장들이 도지사와 정치적 이해관계 로 대립각을 세운 게 전주발전을 힘들게 만들었다. 김완주 전 전주시장이 도지사로 가려고 도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존재감을 과시할 때마다 갈등관계가 형성, 전주시가 도지사의 위세에 짓눌렸다. 김 시장의 경전철 건설 계획이 송하진 시장이 부임하면서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폐기 처분됐다. 김승수 전 시장이 한옥마을에 트램을 운행하려고 했지만 우범기 현 시장이 협소한 도로와 현행 법 체계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백지화 시켰다.

전주 부여 공주 경주 등 고도가 크게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각종 제약요인이 많기 때문이다. 후백제 왕궁이 있던 전주가 경기전과 한옥마을이 형성된 것은 자랑이 아닐 수 없다. 기존 향교를 제외하고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형성된 한옥마을이 일제 때 거의 건축, 경북 안동 것과는 역사적인 측면에서 다르다. 그러나 1995년 민선시장으로 취임한 김완주 시장이 전주한옥마을을 관광자원화해서 전주발전 동력으로 삼은 게 오늘의 한옥마을이다. 이후 송하진 시장이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자 관광자원화 하도록 시설확충에 나선 결과, 관광객 천 만명 시대의 단초를 열었다. 코로나가 엄습한 김승수 시장 때는 콘텐츠 보강을 위해 보전에 역점을 두고 선미촌을 도시재생사업으로 추진하는 성과를 거뒀지만 덕진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을 시민의 숲으로 추진하는 등 발전방향을 잘못 잡은 데다 개발할 것을 개발하지 않고 정치적 세력을 키우기 위해 편가르기 행정을 한 게 결국 잃어버린 8년이 되었다.

전주시가 한옥마을 하나로 승부를 낼 수는 없다. 한옥마을에 콘텐츠 부재로 관광객이 머무르면서 숙박을 해야할 상황이 아니라는 것. 단순히 전동성당 경기전 향교 전라감영 천변 등지에서 셀카나 찍고 다니면서 때가 되면 콩나물국밥이나 비빔밥 아니면 막걸리 정도나 먹고 떠난다. 숙박은 전주에서 1시간권의 국가정원과 갈대숲이 있는 순천이나 밤새도록 포장마차촌에서 젊은 청춘들이 잎세주를 마시면서 여수에서 하기 때문에 주로 돈은 여수와 순천에 몽땅 떨어지고 전주는 푼돈 정도나 만진다.

 전주는 과거 7대도시의 명성을 뒤로한 채 20위권으로 밀려났다. 번듯한 공장이 없어 돈과 사람이 모이지 않아 현상유지 하기에 급급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우범기 시장이 전남북 제주까지 관할하던 전라감영의 옛 영화를 되찾기 위해 재생사업으로 추진하려던 덕진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을 재검토, 야구장과 종합경기장을 헐고 그 자리에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보다 규모가 큰 컨벤션센터를 짓기로 했다. 아울러 도청 주변미관과 환경을 해쳐온 대한방직터를 개발토록 할 계획이어서 모처럼 만에 전주가 용트림을 하고 있다.

기재부에서 국가예산업무를 다뤄온 우 시장이 전주발전을 강하게 추진하도록 시민들이 적극 협조해야 한다. 전주유림들이 용머리 고갯길로 호남선이 나는 것을 반대한 것을 교훈삼아 우시장의 개발과 규제완화정책에 딴지를 걸지 않아야 한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          

 

백성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