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완주군이 상생협력의 첫발을 뗐다.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가 14일 전북도청에서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추진 협약'을 맺은 것이다. 행정통합을 위한 첫걸음이냐 여부를 떠나 동반발전을 향한 소통의 문이 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주 잘한 일이다.
이들 지자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수소경제중심도시 도약사업과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사업을 1차 상생협력사업으로 선정·추진키로 했다. 또 향후 경제와 교통, 문화, 복지, 교육 등 지역주민의 생활 편익을 높이고 지역의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을 함께 발굴·추진하기로 했다.
그동안 전주시와 완주군은 통합문제를 둘러싸고 진통이 컸다. 1997년부터 세 차례 걸쳐 통합을 시도했으나 번번히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제 또다시 통합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그에 앞서 양 지역간 주민 편익 증진이라는 공동의 이익을 위한 실질적 협력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점차 주민 공감대를 형성해 나간다면 통합의 문도 열릴 것이다.
전주와 완주는 원래 한 몸이었다. 1300년 넘게 완산주 또는 전주라는 이름의 공동 운명체로 살아왔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하면서 분리되었을 뿐이다. 갈수록 경제가 피폐해지고 인구가 줄어드는 전북으로서는 이들 두 지자체가 한 몸이 돼 전북 전체의 구심력 회복과 성장을 견인하는 게 절박한 과제 중 하나다.
그러나 섣불리 통합을 추진하다 다시 실패하면 전북 발전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상생협약처럼 점진적으로 다가가는 것도 중요하다. 두 지자체간 상생사업은 이번에 함께 추진키로 한 사업 이외에도 찾아보면 너무 많다. 가령 완주군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만경강 기적 프로젝트를 비롯해 혁신도시 편익증진, 농수산물도매시장 신축 이전, 택시사업구역 통합, 학군조정 등이 그렇다. 이들 이외에도 전주시와 완주군이 힘을 합쳐 기업을 유치하되 땅이 부족한 전주시 대신 완주군으로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모쪼록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이 상생협약의 정신을 살려 지역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으면 한다. 나아가 통합으로까지 이어지길 기대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