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은 유권자와의 약속이기에 선출직 공직자인 국회의원의 경우 자신이 약속한 것은 끝까지 챙기는 것이 유권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선거문화는 특정 정당 후보에 대한 묻지마식 투표 성향이 강해 그동안 선거 때 내건 공약을 지키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이제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다음번 선거과정에서 매우 비판적인 시각으로 걸러내는 관행이 정착돼야만 한다. 단순히 선거공약의 이행 여부 하나만 가지고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선출직 공직자의 역량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임에는 분명하다.
제21대 국회의원들은 지난달 말로 취임 2년 6개월이 지나갔다. 4년 임기라고는 하지만 막바지 반년가량은 차기 총선에 올인하기 때문에 의정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은 사실상 1년 남짓 남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발표한 ‘21대 국회의원 공약이행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국회의원들의 평균 공약완료율은 31.11%로 울산, 경북, 세종·제주 지역에 이어 4번째다.추진 중인 공약은 56.24%로 결국 87.35%의 공약이 정상 이행되는 등 전북 국회의원들의 공약 이행 비율은 전국대비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속내를 살펴보면 아쉬운 점이 많았다. 폐기되거나 보류 상태에 있는 전북지역 총선 공약이 50여건에 달하고 있다. 특히 지역공약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소속 정당과의 협력이나 동료 의원들과의 유기적 협업 등 체계적 공약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데 이게 부족했다. 특히 전북지역 공약 중 보류된 주요 공약은 국가차원의 지원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과제를 남겼다. 보류 공약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혁신도시 공공기관 추가 이전, 전주역 KTX 증편 및 SRT 노선 신설 등이다. 이는 사소한 공약 10개보다 지역 사회 파급효과가 훨씬 큰 것이기에 중앙정부의 협조를 이끌어내고 다른 지역 국회의원이나 다른 정당의 지원을 받아내는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예술의전당 전북분원, 캠퍼스혁신파크(창업밸리) 조성을 비롯해 각종 문화시설 확충이나, 도로 등 SOC사업 다수가 보류 상태에 있는 것도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결국 전북 국회의원들이 초심의 자세로 더 뛰어야만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