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2026년까지 일자리 11만106개를 창출하겠다는 민선 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미래성장주도 혁신일자리 및 지역자원 기반 상생일자리 창출 등 5대 추진전략과 18개 과제를 담고 있다. 특히 청년 인구유출 방지를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를 강조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일자리 대책은 최고의 복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노인과 여성일자리도 마찬가지지만 타 시도 전출이 가장 많은 청년의 일자리가 정책의 핵심이다. 심각한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대학이 손을 잡고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전주시의 2022년 12월 인구는 65만1495명으로 1년 전 65만7269명에 비해 5774명이 감소했다. 인구 추세로 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감소하다 2018년부터는 증가했지만 2021년부터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장래인구는 더 비관적이다.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2023년에 65만468명, 2027년에 63만7279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내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데다 그동안 저수지 역할을 해왔던 인근 시군의 여력이 고령화로 바닥났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타 시도 전출인구 중 청년층(19-39세)의 인구 비중이 62%로 가장 많다는 점이다. 지역 경제활동의 중심축인 청년인구의 유출은 지역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지역경제 기반을 무너뜨린다. 나아가 지방 소멸을 앞당기게 된다. 이러한 청년인구 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직업이다. 전주나 전북이 싫어서가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 고향을 등진다는 게 1순위 응답이다.
청년인구 유출은 대개 2단계를 밟는다. 1차는 대학진학 단계에서, 2차는 졸업 후 구직단계에서 발생한다. 수도권의 경우 10명 중 8명이 대학 졸업 후 같은 지역에서 일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지역대학의 경쟁력은 대학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한계에 봉착했다. 2023년 입시의 경우 정원 미달의 90%가 지역대학임이 이를 입증한다. 따라서 지자체도 여기에 힘을 보태야 한다. 대기업 유치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지역대학에 맞는 신사업 발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산학협력 지원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의 위기가 아닌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