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새만금과 세계 잼버리 대회

image
곽장근 군산대 교수

올해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세계 스카우드 잼버리 대회가 새만금에서 열린다. 전 세계에서 참가할 5만여 명의 청소년들이 펼치는 젊음의 향연이다. 과연 새만금은 세계 대회를 치를 만한 곳인가? 한마디로 잘 준비된 곳이다. 우리 조상들은 새만금의 흥망성쇠를 유적과 유물에 수놓았다. 이제껏 고고학자가 발품을 팔아 둘러 본 새만금은 글로벌 인문학의 보물창고이다.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새만금의 해양교류사는 차고 넘친다. 새만금은 해양문화의 용광로를 방불케 할 정도로 국내외를 통틀어 압권이다. 조선시대 다소 지치고 벅찼는지 바다를 지키는 수군기지와 유배지로 그 역할이 바뀌었다. 지금까지는 인문학이 거의 초대를 받지 못하고 대부분 국책사업 소식으로만 새만금이 회자되어 안타깝다.

흔히 고고학에서는 강과 바다를 옛날 고속도로라고 부른다. 금강과 만경강, 동진강 물줄기가 군산도에서 한 몸을 이룬다. 새만금이 해양문물교류의 관문으로 융성하는데 결정적인 밑거름이 됐다. 신석기시대 전국의 빗살무늬토기를 거의 다 모아 명품 백화점을 만들었다. 그 잠재력이 어디서 나왔는지 꼭 풀어야 할 새만금의 미스터리이다.

새만금은 또한 패총의 왕국이다. 한반도에서 학계에 보고된 600여 개소의 패총 중 200여 개소가 새만금 일원에 모여 있다. 세계적으로 패총의 밀집도가 월등히 높은 곳이다. 고고학자들이 패총을 찾아 세상에 알렸지만 한 개소의 패총도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너무 아쉽다. 솔직히 패총은 새만금의 역사책이자 타임캡슐이다.

마한의 핵심세력은 해양세력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말무덤이 가장 많은 곳이 새만금 일원이다. 말무덤은 마한의 왕무덤을 의미한다. 새만금을 무대로 해양세력이 번창했음을 수많은 말무덤들이 반증한다. 고창 봉덕리, 군산 미룡동 등 마한의 지배자 무덤에서 동북아를 아우르는 최상급 위세품이 쏟아져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마한이 구축해 놓은 해양 네트워크로 백제와 후백제는 해양왕국으로 더욱 번성했다. 백제가 공주, 부여에 도읍을 둔 200여 년 동안 새만금은 해양문물교류의 관문이었다. 후백제는 군산도를 통과하는 사단항로로 중국 청자의 본향 오월과 국제외교를 당당히 펼쳤다. 이 무렵 군산도가 대규모 항만시설을 갖춘 국제항구로 개발됐을 개연성이 높다.

고려는 군산도를 국제외교의 큰 무대로 삼았다. 1123년 송나라 황제 휘종이 고려에 국신사를 파견하자, 고려는 군산도 군산정에서 김부식 주관으로 국가차원의 영접행사를 열었다. 새만금 최대의 국제행사였다. 군산도에 숭산행궁과 숭산별묘를 두어 제2의 개경으로 인식했던 것 같다. 여기서 숭산은 개경의 진산 송악산의 또 다른 이름이다.

옛 지도와 문헌에는 군산도에 왕릉이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군산대학교 고고학팀이 왕릉을 찾았지만 한 차례의 발굴조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군산도 왕릉은 숭산행궁, 군산정과 함께 새만금 해양문화유산의 백미이다. 부안 계화도, 군산 방축도 등 10여 개소의 봉수가 집중 배치되어 새만금은 내내 전략상 요충지를 이루었다.

새만금은 해양문화유산의 메카였다. 중국에서 전래된 철기문화와 도자문화가 새만금을 경유하던 바닷길로 전북에 곧장 전래되어 전북에서 화려하게 꽃피웠다. 해양왕국 백제와 후백제, 고려도 새만금을 무대로 국제외교를 왕성하게 펼쳤다. 새만금 해양문화유산의 국제성과 역동성을 잘 살려 세계 잼버리 대회가 성대하게 개최되길 염원한다.

/곽장근 군산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