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6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7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갖고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국내 산업규모를 10조 원, 수출 5조 원으로 늘리고 글로벌·유니콘 기업 15곳을 육성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종자, 미생물 등 6대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을 지원하고 전용펀드도 조성키로 했다. 농식품 산업에 강점을 갖고 있는 전북으로서는 우리나라 농생명 산업의 메카로서 위상을 높일 좋은 기회다. 어느 지역보다 농식품 분야의 원재료 및 연구개발(R&D)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전북의 산업 생태계를 업그레이드할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 등을 적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다. 주요 분야로 종자, 동물용 의약품,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 소재 등을 꼽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세계 그린바이오 시장은 2020년 약 1조20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6.7%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에 반해 국내시장은 2020년 5조4000억원 규모로 세계시장 대비 0.3%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6대 분야에 산업 거점인 ‘그린바이오 허브’를 두고 이를 중심으로 기업의 제품 평가, 실증 등 상품화 과정을 종합 지원키로 했다.
6대 그린바이오 허브에서 종자 분야는 김제 K-Seed Valley, 동물용의약품 분야는 익산 동물용의약품 효능·안전성 평가센터, 미생물 분야는 정읍 미생물산업 육성지원센터, 곤충 분야는 예천 곤충산업 거점단지, 식품 분야는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가 해당한다. 천연물 분야는 올해 천연물 소재 허브 1곳을 공모할 예정이다. 6대 그린바이오 허브 가운데 전북에서는 익산(동물용의약품, 식품)과 김제(종자), 정읍(미생물) 등 4대 분야에 3개 시·군이 포함돼 있다. 전북으로서는 호재가 아닐 수 없다. 정부는 또 자금 지원과 조세 특례, 그린바이오 제품 공공 우선구매제도 시행키로 했다.
하지만 전북은 여기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강원과 경북이 도전하고 있는 천연물 분야도 남원과 정읍이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했으면 한다. 오랫동안 농도로서 산업화에 뒤쳐져 있던 전북으로서는 이번 기회를 발판 삼아 농생명 분야의 중심도시로 우뚝 섰으면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