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에다 일자리난까지 겹쳐 민생경제가 어렵다. 특히 저신용 저소득의 취약계층은 팍팍한 삶으로 막다른 골목에 몰리고 있다. 이들에게는 무엇보다 생계유지가 급선무다. 그런데 취약계층의 생계유지를 위해 출시된 햇살론이 지나치게 금리가 높아 서민들을 울리고 있다. 이 상품의 대출 폭을 늘리고 금리도 최대한 낮춰 서민들의 숨통을 터줬으면 한다.
햇살론15는 최소한의 요건만 심사해 15.9%, 700만원(최대 1400만원) 한도로 이용 가능한 고금리 대안상품이다. 지원대상은 연소득 3500만원 이하 또는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평점 하위 20%에 해당해야 한다. 연체 없이 성실하게 상환하는 경우 매년 1.5%∼3%p 금리를 인하해준다. 불법사금융에 노출된 저신용 저소득 금융취약계층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다. 이 상품은 2021년 7월 법정최고금리가 24%에서 20%로 인하되면서 햇살론17(금리 17.9%)에서 햇살론15로 개편됐다.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 이자를 받고 있는 대부업체 금리보다는 낮다. 하지만 올 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연 5.46%보다는 너무 높다. 또 정부는 은행이나 제2금융권을 이용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에 최대 100만 원을 최저 9.4%의 금리로 대출해주는 긴급생계비(소액생계비) 대출을 이달 27일 출시키로 했다. 이 조치는 특단의 대책이긴 해도 햇살론15의 금리를 낮출 수 있음을 반증해준다.
햇살론이 정부의 정책적 배려에 의한 대출이긴 하나 은행권도 취약계층을 위해 공적 기능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금융지주사들은 해마다 4조 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하고 있다. 은행들은 예대금리차가 커 이자수익이 20% 가까이 늘었다. 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고 여기에 성과급 잔치까지 벌여 빈축을 샀다. 그러면서도 건전성을 앞세워 취약계층 대출을 꺼린다. 반면 서민들은 급전조차 구할 수 없어 피가 마른다. 개인파산이 줄을 잇고 부업에 뛰어드는 가장이 역대 최고 수준이다. 종신보험이나 주택청약을 해지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이들을 구제하기 위한 햇살론이 나름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가능하면 금리를 더 낮추는 게 합당하다. 정부나 은행 모두 더 낮아졌으면 한다. 취약계층이 살아나야 국가나 은행도 유지되기 때문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