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도 모르게 어느 순간 빠져들어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는 도박중독은 자신의 삶뿐 아니라 가족의 삶까지 망칠 수 있는 심각한 질병이다. 특히 도박은 그 자체가 엄연한 범죄이기도 하고, 마약과 사기·폭행·절도 등 다른 범죄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인터넷 방송과 SNS, 온라인 게임 등 도박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많아지면서 10대 청소년들이 불법도박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전북교육청이 최근 전국 시·도교육청 가운데 최초로 학생 도박 실태 전주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 중·고교생 4.6% 정도가 도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 도내 중·고교생 9만6318명 가운데 2만8354명(29.4%)이 설문에 응답했고, 이 중 4.6%(1298명)가 ‘도박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이다. 도내 남녀 중·고교생 100명 중 5명이 도박문제에 노출된 셈이다. 조사 대상이 10대 중·고교생이라는 점에서 그 비중이 매우 높다. 전수 조사를 실시한 전북교육청에서 대책도 내놓았다. 우선 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도박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위험군 학생에 대한 프로그램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또 학부모들에게 도박 예방 교육자료 및 홍보물을 정기적으로 보내고, 교원에게는 도박 징후 학생 발견 시 조기 개입 및 대처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우리 학생들이 행여 도박의 늪에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전북교육청의 이번 청소년 도박예방 대책이 일시적 대응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강도 높게 이어지길 바란다. 아울러 심신을 병들게 하는 불법도박으로부터 미래 세대인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범사회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정부에서도 청소년들의 온라인 불법도박 근절을 위해 최근 범정부 대응팀을 구성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고 하니 그 성과를 기대해 볼 만하다.
청소년 도박은 대부분 단순한 재미와 호기심에서 시작된다. 무엇보다 청소년들이 도박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예방교육이 중요하다. 청소년 관점에서 도박의 문제를 바라보고 게임과 도박의 경계를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쏟아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