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펑크, 그 부메랑은

image
국승호 기자

“온다던 군수는 왜 안 온대?” “몰라.”

지난 12일 진안군문예체육관에서 열린 자원봉사자의 날. 그날 행사장에서 무심결에 들은 대화다. 이 대화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한 가지는 전춘성 군수가 참석하기로 돼 있었다는 사실이다.

행사 관계자에게 확인해 보니 참석한다고 약속해 놓고 불참한 것이 확실했다. 그런데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 하나 있었다. 불참 사유와 그 통보시점이었다.

군수 측은 군청 관계부서를 통해 “갑작스럽게 집안일이 생겨서 군수님이 참석하지 못한다”고 행사가 막 임박했을 때 일방 통보했다고 한다. 구체적 이유도 없이 말이다.

불참 이유를 두고 추측이 무성하다. ‘바빠서’나 ‘몸이 아파서’ 또는 ‘집안 일이 있어서’ 따위의 이유는 사전에 일정이 조율된 점, 이날 오후 군수가 다른 행사에 참석한 점 등으로 미루어 설득력이 떨어져 보인다. 일각에서는 ‘가기 싫어서’를 가장 설득력 있는 이유로 제시한다. 그 밖의 말 못할 속사정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하지만 이날 행사는 350명 넘는 주인공, 봉사자들과의 약속이었다. 느닷없는 불참통보는 어떤 이유로도 설명이 되지 않는다. 행사는 성황을 이뤘고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었다. 다만, 군수의 ‘무단결석’이 찬물 끼얹은 꼴이 돼 옥의 티라는 평이 나왔다. 그날 진행됐던 ‘군수상 시상’의 주체가 군수여서 빈자리는 더욱 커 보였다.

표를 먹고 사는 선출직 군수가 군민 350명과의 약속을 펑크 냈으니 뭐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는 뒷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애정이 예전 같지 않아서라는 분석이 공감을 얻고 있다.

‘바둑으로 치자면 하수의 행마’라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 자칫 350명 존재를 우습게 여긴다거나, 자원봉사센터와의 불화설 시비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자리를 함께했던 350명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섯 글자를 ‘자원봉사자’라고 외쳤다. 유권자인 그들이다. 군수의 약속펑크를 어떤 형태의 부메랑으로 보상할까.

국승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