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1:2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전북도립국악원장, 재공모해서 뽑아라

개방형 직위로 전환돼 공모절차를 거치면서 지역사회의 관심을 모은 전북도립국악원장 인선 결과 발표가 늦어져 논란이다. 그 배경을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전북도립국악원은 초창기에 잠시 민간인 원장 체제로 운영되다 이후 전북도 파견 서기관이 원장직을 맡아왔다. 전북도는 지난해 11월 도립국악원장 공개모집 공고를 낸 후 예고한 일정에 따라 지난달 19일 면접시험까지 마쳤다. 모두 6명이 지원했고, 최종 후보에는 유명 국악인과 언론사 간부 출신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늦어도 해가 바뀌기 전에는 최종 합격자 발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모집공고에서도 2023년 12월 중에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해를 넘기고도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임명권자인 김관영 지사의 최종 결단이 늦어져서다.

그러다보니 지역사회에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미 특정 인물을 내정해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소문도 나돈다. 개방형 직위는 공직사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위에 대해 공직 내·외부 공개모집 절차를 통해 가장 적합한 인재를 뽑자는 게 근본 취지다. 전북도에서도 지난해 관련 규칙을 개정해 도립국악원장을 개방형 직위로 전환하면서 ‘전문적 국악교육과 국악 대중화를 위한 비전 등 문화예술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의 필요성이 증대했다’고 밝혔다. 

새 원장 선임이 늦어지면서 도립국악원은 수장이 공석인 채로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전임 원장은 올해 공로연수에 들어갔다. 당연히 개방형 직위의 취지를 되새겨 심사위원회에서 선발한 복수의 후보자 가운데 가장 적합한 인물을 선임해야 한다. 게다가 도립국악원장은 다른 어느 기관장보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자리다. 또 국악의 본고장으로서 상징성도 크다. 행여 떠도는 소문처럼 특정 외부 인사를 염두에 둔 공모였고, 그 의도가 인선 결과에서 나타난다면 엄청난 파장이 불가피할 것이다. 

새해 벽두, 전북은 특별자치도 출범을 눈앞에 두고 새 시대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다. 인사문제를 둘러싼 불필요한 논란은 도움이 될 게 전혀 없다. 개방형 직위제 도입 취지에 맞게 전문성이 요구되는 자리에 가장 적합한 인물을 선임하거나 적격자가 없다면 서둘러 재공모 절차를 밟으면 될 일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도립국악원장 #개방형 #인선 #취지
전북일보 opinion@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