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한옥마을 케이블카 설치

image
일러스트/정윤성

전주를 찾는 대부분의 관광객이 입소문을 타고 한옥마을을 오지만 특별히 보잘 게 없고 즐길만한 것이 없어 숙박은 안하고 타 지역으로 떠나간다. 지금 관광의 대세는 보는 것에서 먹고 마시고 즐기는 체험형이 주를 이룬다. 전주는 한옥마을 이외에는 특별히 가볼만한 곳이 없어 반나절 관광권 밖에 안된다. 이 때문에 한끼 정도만 비빔밥이나 콩나물국밥 순대국밥 한정식으로 떼우고 떠나버려 관광수입도 많이 올리지 못한다.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대규모 한옥단지를 조성해 관광객을 불러 모아 전주가 갖는 매력이 차별화 되지 않으면서 스쳐 지나가는 경유관광지로 전락했다. 전주 한옥은 대부분이 일제 때 지어진 낡은 건물로서 문화재적 가치도 높지 않아 호감도가 낮다. 다만 생활형 한옥이어서 아파트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체험공간으로 활용, 그 명맥을 잇는 정도다. 

전주시가 그간 나름대로 관광객 머무는 시간을 늘려 체류형숙박관광지로 만들려고 노력을 했지만 큰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한옥마을 경기전 전동성당을 거쳐 남부시장 전라감영 객사 등으로 동선을 옮기도록 투자했지만 관광객의 동선이 거의 한옥마을에 멈춰있다. 특히 먹거리도 다른 관광지와 특색 없이 비슷하고 비빔밥과 콩나물국밥집도 질이 갈수록 하향평준화 되어 인기가 시들해졌다.

예전에는 전주음식을 맛보려는 미식가들의 발길이 줄을 이었지만 지금은 그런 명맥을 유지하는 업체들이 갈수록 사라져 발길이 끊어지고 있다. 장인들의 손맛으로 그 명성을 날렸던 한정식도 반찬가짓수에 비해 가성비가 떨어져 지역민들까지도 외면, 갈수록 영업이 안된다. 이처럼 자체소비가 선순환구조를 이루지 못해 빈곤의 악순환 마냥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전주종합경기장에 컨벤션센터를 건립해 관광산업을 활성화 시키겠다고 우범기 시장도 다짐하지만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를 정도로 전임자가 뒤범벅 해놓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야간 경관조명이 제대로 안돼 밤 9시가 지나면 적막강산을 이룰 정도로 어둡고 고요하기 그지 없다. 시내 중심부에 루미나리에가 설치돼 있지만 일부에 그쳐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면서 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가로등부터 LED로 전면 교체, 조도를 높여야 한다. 

여기에 한옥마을서 기린봉을 거쳐 아중호수로 연결하는 3Km의 케이블카를 빨리 추진해야 한다. 여수시도 돌산대교에서 내항을 거쳐 오동도에 이르는 곳에 케이블카를 설치한 것이 대박나 관광명소가 되었다. 목포도 유달산에 케이블카를 설치 톡톡히 재미를 보고 있다. 지금은 천혜의 관광자원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호텔이나 위락시설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4계절 전천후 관광지로 활용하는게 더 중요하다. 

아무튼 전주천에 유지관리수를 상류에서 계속 흘려 보내 뷰를 살리고 전주천과 삼천을 준설, 물길을 살려 나가도록 해야 한다. 시멘트로 가교를 만들어 덕진연못의 정취를 망쳐 놓은 곳을 살려내면서 전주랜드마크가 될 타워가 대한방직터에 빨리 들어서도록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      

백성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교육일반전북 장애인펜싱팀 창단 사상 첫 종합우승

문학·출판전북시인협회장 후보에 이두현·이광원 최종 등록

문학·출판간절한 ‘꿈’을 그리다…여균동 그림책 ‘그녀의 꿈은 밀라노에 가는 거였다’

문화일반[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김근혜 아동문학가, 이경옥 ‘진짜 가족 맞아요’

오피니언[사설] 전북교육청 3년 연속 최우수, 성과 이어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