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대 지방의회가 오는 7월 출범하게 될 후반기 원 구성을 앞두고 벌써부터 술렁이고 있다. 후반기 의회는 2026년 6월 3일로 예정된 제9회 지방선거와 직결되는 만큼 차기 자치단체장을 염두에 둔 의원들이 의장과 부의장·상임위원장 등의 감투를 놓고 일찌감치 치열한 물밑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아무래도 단체장 선거에 나가려면 유권자들에게 얼굴과 이름을 알릴 기회가 많은 감투를 차지하고 싶을테니 전반기보다 경쟁이 더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는 벌써부터 8명의 의원들이 차기 시장·군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고, 후반기 의장 및 상임위원장 입지자들의 이름도 오르내리고 있다. 각 시·군의회도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집행부와 더불어 지방자치의 양대 축인 지방의회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주민의 대변자로서 집행부 견제·감시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 지역의 미래를 고민해야 한다. 후반기 원 구성 과정에서 다시 진흙탕 감투싸움과 나눠먹기 관행을 떨쳐내지 못해 파행을 자초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지방의회를 대표하면서 의회를 이끌어 가야 할 의장은 매우 중요하고 책임이 큰 자리다. 당연히 의회를 대표할 수 있는 정치력과 경륜, 인품, 그리고 추진력을 두루 갖춘 인물을 뽑아야 한다. 이런 조건을 모두 갖춘 인물이 없다면 차선책으로 가장 근접한 인물을 찾아야 한다. 개개인의 친분이나 밀실담합, 외부 압력에 의해 의장을 선출해서는 안 된다. 지역 주민들은 중앙정치권과 닮은 모습의 지방의회를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동안 의장과 부의장·상임위원장 등의 감투를 개인의 명예나 영달을 위한 기회로 여기는 의원들이 많았다. 자치단체장이나 국회의원 출마의 발판으로 삼기 위해 감투에 욕심을 내는 의원들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런 사람이 의장이 된다면 본연의 역할은 소홀히 하면서 엉뚱한 곳만 기웃거릴 게 뻔하다. 결국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 위상은 실추될 수밖에 없다. 지방의원들이 의장직을 놓고 패거리를 지어 불협화음을 내는 최악의 상황도 우려된다.
인구 위기를 극복하고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야 하는 시점이다. 지방의회의 역할도 막중하다. 후반기를 다시 진흙탕 감투싸움으로 시작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