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1:59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까마귀와 지방의회의 위상

image

요즘 까마귀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번식기를 맞아 공격성이 강해져서 그런다는 건데 어쨋든 몸집이 작은 까마귀가 사람을 공격하는 일은 매우 이례적인 사례다. 살다살다 서울 강남 한복판에서도 새한테 머리가 쪼이기도 한다고 하니 길을 걸을 때 이젠 앞만 잘 볼게 아니라 하늘도 잘 지켜봐야 할 모양이다. 전문가들은 까마귀 공격을 당할 경우, 맞상대해서 흥분시키지 말고 일단 피하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한다. 문화권에 따라 흉조로, 또는 길조로 인식되곤 하는데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까마귀는 까치, 앵무새와 함께 새 중에서 최상위권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거다. 인간 다음으로 똑똑한 동물 중 하나다. 훈련받은 까마귀의 지능은 6~7세 아이 정도로, 돌고래나 침팬지급의 지능을 자랑하며, 도구 제작 능력과 문제해결 방면에서는 까마귀가 오히려 더 뛰어나다. 우리 속담에 반포지효(反哺之孝)가 있다.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라는 뜻인데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지극한 효성을 의미한다. 그런가하면 오비이락(烏飛梨落)이라는 속담도 있다. 우연히 동시에 일이 생겨서 둘 사이에 무슨 관계라도 있는 것처럼 의심을 받을 수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오비이락을 말하다보니 문득 지방의원과 지방의회의 위상 문제가 떠오른다. 지방의회가 출범한지도 이젠 만 33년이 됐기에 의원들의 역량이나 의회의 위상은 초창기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단계에 올라서 있다. 하지만 아직 뭔가 부족해 보인다. 후반기 2년을 이끌어 갈 의장단, 상임위원장단 선거를 앞두고 아름답지 못한 이런저런 얘기가 귓전을 스치기 때문이다. 헛소문이길 바라지만 영 개운치가 않다. 약 10년전 국회의원을 했던 한 원로가 이런 말을 한적이 있다. “그래도 국회의원 정도 되면 장차관급 관료를 지냈거나 군 장성급, 명망있는 법조인, 기업체 간부 등이 많은데 원내총무만 하려고 동료 의원에게 지지를 부탁하려고 해도 몇백만원은 줘야되는 관행이 있더라” . 쉽게말해 돈이 그렇게 궁하지 않은 위치에 있음에도 동료의원에게 지지를 호소하려면 최소한의 인사는 건네야만 하는 현실이 정말 의아했다는 거다. 지금이야 이런 구태가 사라졌겠으나 아직도 일부 지방의회에서는 이런 관행이 있다고 한다. 몇년 전, 한 지방의원이 해외여행을 하면서 동료의원들에게 용돈을 좀 챙겨준게 문제가 돼 정치생명이 끝난 사례가 있었기에 지금은 당연히 이런 구태는 없어졌을거라 여겼는데, 아직도 일부 지방의회에서는 진행형이라는 말도 들린다. 국회의원 등 외부의 힘에 편승해 의장단이 되려는 생각도 떨쳐야 하지만, 또 한편으론 금전 몇푼으로 동료의원들의 환심을 사려는 구태가 재발돼선 안된다. 지방의회의 위상을 깎는 일이다.  “까마귀 날자 배떨어진다”는 속담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닌, 말 그대로 속담에 그쳐야 한다. 잘못하면 까마귀에 머리를 쪼일 수 있기 때문이다. 위병기 수석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까마귀와지방의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