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핵심이었던 명신이 결국 완성차 생산을 포기했다. 결과적으로 전기차 메카가 되겠다는 당초 계획은 물거품이 됐다. 차량 부품 수입과 조립으로 명맥만 유지했으나 광주형 일자리를 무모하게 따라서 추진한 정책은 참담하게 결론이 났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은 2017년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2018년 5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상황에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시작됐다. 대기업 위주의 완성차 생산에서 탈피해 중견·중소기업이 완성차 제조부터 판매까지 맡은 국내 첫 사례로 주목을 받았으며 군산에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명신, 대창모터스, 에디슨모터스, 코스텍를 비롯한 전기차 중견기업 4곳이 참여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은 끝내 실패작으로 끝났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외부 요인도 있었으나 결정적인 이유는 중국산 저가 전기차에 비교우위를 갖지 못했다는 점이다. 명신은 2019년 한국지엠 공장을 인수한 이후 수년째 제대로 된 일감을 받지 못했다. 사실 명신은 군산형 일자리 사업에서 전체 고용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핵심 기업이었으나 투자와 고용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 결국 중앙정부와 전북자치도, 군산시로부터 받은 보조금 87억원을 반납하기도했다.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핵심 기업인 명신은 29일 "친환경 완성차 사업에서 좀 더 경쟁력을 갖춘 자동차 부품 및 자동화 설비 사업으로 전환을 결정했다"고 밝혔다.부진을 면치 못하는 전기차 사업에서 철수하는 대신 대표 분야인 부품 사업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명신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친환경 완성차 사업 부분에 집중됐던 인적, 물적 자원의 쇄신을 통해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기존 대표 사업인 차체 부품사업의 군산공장 생산물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더 이상 아픈 상처에 손을 대봐야 뽀족한 해법은 없다. 어려운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다 실패했기에 지금 이 상황에서 누구탓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다만, 지금이라도 명신사태의 후유증을 최소화해야 한다. 구조조정과 그에따른 실직사태가 있을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당국과 명신이 더 고민하고 최선을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은 그게 최선은 해법은 아니지만 차선책은 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