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오목대] 반려동물의 노후

image

지난 여름, 무더위를 피해 아침 일찍 산책에 나섰다 미니 선풍기를 단 개모차를 보았다. 주인은 땀을 흘리면서 개모차를 밀고 있는데 앉아있는 반려견은 시원한 선풍기 바람을 쐬고 있었다. 노후 반려견을 위한 배려였다. 반려동물도 나이 들면 걷지 못하거나 걷는 것을 힘들어 한다. 이때 전용 유모차가 유용하다. 보다 수월하게 산책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KB금융지주가 지난 6월 발표한 ‘2025 한국 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우리나라 반려가구는 591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6.7%, 반려인은 1546만명으로 29.9%에 이른다. 국민 3명 중 1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이다. 또 반려동물은 반려견 546만 마리, 반려묘 217만 마리로 집계됐으며 금붕어, 토끼, 거북이, 파충류 등 다양한 종이 있다. 이들 중 10세 이상의 노령견을 양육하는 가구도 20%를 넘었다. 

반려동물은 노인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행복을 주고 우울증을 덜어주는 등 자식보다 나은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키우는데 경제적인 비용과 세심한 돌봄이 필요하다. 사람과 똑같이 생로병사 과정을 겪기에 건강관리와 작별까지 감안해야 한다. 건강할 때는 재롱과 친근감으로 기쁨을 주지만 노후에는 신경써야 할 일이 적지 않다. 최근에는 70대 자식이 90대 부모를 돌보듯 노인이 노후 반려동물을 돌보는 ‘노(老)-노(老) 케어’가 흔하다. 

그럼 반려동물의 노후 대비는? 개와 고양이의 수명은 평균 15년이며 생애 주기상 8-10살이 넘어가면 고령으로 분류한다.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것은 건강이다. 일본의 경우(2022년 가전업체 파나소닉 조사) 노후 반려견은 모질(毛質), 즉 털의 상태가 나빠진 것이 가장 큰 걱정이라고 한다. 털의 양이 줄고 윤기가 없고 가늘어진다는 것이다. 또 배설 트러블도 문제다. 정해진 장소에서 배설을 하지 않거나 배설 빈도가 늘고 집 곳곳에 소변을 뿌리기도 한다. 반려묘는 식사 구토가 심해진다. 사람이 나이 들면 ‘노인 냄새(加齡臭)’가 나는 것처럼 반려동물도 마찬가지다. 개나 고양이 모두 노화하면서 악취기 심해진다. 이와 함께 치주질환, 비만, 만성귓병과 피부알러지, 백내장, 방광염과 결석, 퇴행성 관절염, 만성췌장염, 치매 등도 뒤따른다. 이를 조기에 치료하기 위해 6개월마다 건강검진을 권한다. 

또한 반려동물과의 이별도 대비해야 한다. 현행법상 반려동물 사체는 폐기물로 분류된다. 따라서 매장은 허용되지 않고 사체를 종량제 봉투에 담아 생활폐기물로 배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물병원에 맡겨 의료폐기물로 처리하거나 장묘업체를 통해 장례를 치러야 한다.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정신적 어려움(펫로스 pet loss)도 오래 가는 경우가 많아 극복 과제 중 하나다.(조상진 논설고문) 

 

 

조상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작지만 강한' 전북도립미술관의 반란

경제일반전주상의

경제일반홈플러스 노조, 철야농성 재개…"지금이 골든타임"

경제일반전세사기 피해자 누적 3만4천481명…인정비율 63.7%

정치일반'역대급' SKT 개인정보 유출에도 30만원…배상 기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