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신춘문예 출신 안성덕 시인이 4년 만에 두 번째 시집 <달달한 쓴맛> 을 펴냈다. 이 안에는 어둠을 닦아 빛을 만들어내는 시편들이 가득하다. 아픔과 상처를 보듬는 그의 품은 넓고, 절망과 고통을 쓸어내리는 그의 손은 섬세하다. 달달한>
시인은 자신의 추억을 담담하게 풀어놓는다. 이번 시집에 이야기시의 형태가 많은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는 기억을 치장하지 않는다. 다정하고 순연한 유년의 풍경을 담백한 목소리로 고백할 뿐이다.
“엿을 먹었네/ 꿈결인 듯 앞산 너머 뻐꾸기가 울면 철걱철걱 엿장수가 가위를 쳤네/ 아무리 아껴 먹어도 할머니 흰 고무신은 금세 녹았고 어머니의 부지깽이는 오래 쓰라렸네/ 소쩍새는 밤이 깊도록 훌쩍거렸네” (‘달달한 쓴맛’ 일부)
나아가 시인은 세상을 다독이고, 타인을 보듬는다. 이러한 다정한 시선은 가족과의 관계로부터 기원한다. 특히 그에게 지극한 사랑을 전해준 어머니는 그 기원의 바탕이다. 월남전에 파병된 형을 그린 ‘별’, 아내와의 토닥거림을 다룬 ‘핑계’ 등 가족에 관한 시편들도 다정의 기원을 엿보게 한다.
“(상략) 갓난아기로 돌아가신 걸까 틀니 빼 쓰레기통에 버렸더라는 어머니, 태엽 감듯 시간 맞춰 공양하시고 무덕무덕 애기똥풀꽃 활짝 피우신다// 쑥고개 아래 연수요양병원 315호실 저, 저 꽃바구니 십 년은 더 걱정 없겠다” (‘조화’ 일부)
이와 관련해 박동억 문학평론가는 해설에서 “투쟁해야 하는 현실도, 아픈 상실도 조금씩 내려놓으며 안성덕 시인의 시는 넉넉한 품을 만들어낸다. 그러한 품은 어머니를 넘어 신화적인 여성성에 비유된다”며 “천상과 지상을 모두 포용하는 이 근원적인 모성이야말로 안성덕 시의 뿌리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읍 출신인 시인은 2009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시 ’입춘’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14년 시집 <몸붓> 을 냈다. 제5회 작가의 눈 작품상과 제8회 리토피아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원광대에 출강하고 있다. 몸붓>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