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누구에게 사과를 요구해야 하는지 모르겠읍니다“
“더이상 교육국장의 답변을 듣지말고 잠시 정회해서 의견을 정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전자의 말은 교육청 간부의 답변이요, 후자의 얘기는 이에 대한 교육위원들의 의사진행 발언이다.
10일 교육위원회 임시회에서 터져나온 발언으로 양자의 말에는 모두가 감정과 열이 받쳐있는 상태.
교위가 들고 일어선 문제의 발단은 지난 7일 황병수 부교육감,정중근 교육국장등 집행부 간부들과 김대식 부의장 간의 폭력성 언행 때문. 이날 정국장은 김부의장에 거칠은 언사와 함께 물건을 집어 던지려는 듯한 제스처를 썼다는 게 김부의장의 주장.이말을 들은 동료위원들은 이는 전체 교위를 무시한 처사다며 발칵 일어섰다.위원들 간에 장시간을 통해 갑론을박을 거친 끝에 위원회는 당사자의 사과발언으로 일단락 지으려 했던 것 .
그러나 답변에 나선 집행부 측은 그들 대로 이번 사태를 일으킨 전날 김대식 부의장의 인격을 무시한 발언에 아직도 유감이 풀리지 않은 상태로 그렇게는 못하겠다는 자세였다.
황 부교육감은 “ “김 부의장의 적절치 못한 표현으로(‘X인지 된장인구 구별하지 못한다’ ‘당장 사표써라’ 등의 표현을 지칭한듯) 저의 인격이 현저히 모독당했다고 생각한다”면서 오히려 속기록에서 이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
정교육국장도 “일부 언론에 자료를 제공한 적이 없다는 사실을 수차례에 걸쳐 설명했는데도 부의장이 X로 파고 OOO로 찍어서라도 유착관계를 밝혀내겠다고 하는 등 억지소리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6일 본회의장에서 ‘개는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고 집행부를 매도했을때도 참았다…”며 사과 발언이 아닌 사태의 배경 설명에 급급.
사태가 이쯤 이르자 결국 교육위원회는 정회뒤 3시간 넘게 간담회를 가진끝에 ‘위원의 질문에 대해 반발하는 듯한 태도로 답변했다’는 등의 이유로 부교육감과 교육국장에 대한 징계요구 결의안을 내기로 분위기는 급변했다.
이날의 회의는 집행부와 위원회가 화해로 풀기는 커녕 오히려 사태는 더 악화일로를 걷고 만 것이다.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기 보다는 양기관 모두가“네 탓“이라는 입장이다.
양 쪽의 주장 대로 이번 사태를 하나 하나 분명히 따져 보자면 양쪽 모두의 잘못이 있다. 한쪽이 잘 한 반면 한쪽이 잘못한 제로 섬 게임이 아니었다.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윈-윈 게임이 아니라 디핏 -디핏 (defeat) 였다.
더구나 다른 직종이 아닌 우리 사회의 사표인 교육 관계자들이라면 먼저 ”내 탓“부터 외칠 일이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