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상봉신청자에 국군 출신 4명도 포함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13개월 만에 다시 이뤄져, 60여년간 헤어져 있던 이산가족 533명이 감격적으로 재회했다.
북측 상봉신청자 97명과 남측 가족 436명은 30일 오후 3시10분께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내 행사장에서 꿈에 그리던 혈육을 만나 서로를 부둥켜안고 분단의 아픔을달랬다.
너무 늦어진 상봉의 안타까움과 재회의 기쁨이 교차하는 분위기 속에 가족별로테이블에 둘러앉아 2시간 가까이 핏줄의 정을 확인한 이들은 오후 7시부터 우리 측이 마련한 환영 만찬에 참석, 정성껏 차려진 음식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날 상봉 장소에 나온 북측 신청자 중에는 국군 출신인 리종렬(90).리원직(77).윤태영(79).방영원(81)씨 4명이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북측 신청자 중 최고령인 리종렬씨는 아들 이민관(61)씨와 동생들을 만났고, 남측 가족 중에는 딸 우정혜(71)씨를 만난 김례정(96)씨 나이가 가장 많았다.
당초 북측은 최종 상봉신청자 100명의 명단을 우리 측에 통보했지만 그 이후 본인 건강악화, 남측 가족 사망 등의 사정이 생겨 3명이 빠졌다.
남측 가족들은 오전 8시30분께 전날 집결장소였던 속초 한화콘도를 출발해 동해선 육로로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한 뒤 오후 1시께 금강산 지구에 도착했다.
우리 측 단장은 유종하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맡았으나 북측에서는 장재언 조선적십자회 위원장이 건강 문제로 불참해 최성익 부위원장이 대신했다.
이들 이산가족은 둘째 날인 31일에 오전 9시 '개별 상봉'(가족 단위 비공개),낮 12시 '공동 점심식사', 오후 4시 '단체 상봉'(가족 단위 공개)으로 다시 회포를풀고, 셋째 날인 11월 1일에는 오전 9시 '작별 상봉'(가족단위 공개)을 끝으로 아쉬운 '2박3일' 일정의 재회를 마무리한다.
내달 3일에는 남측의 상봉 신청자 96명이 역시 2박3일 일정으로 금강산에 가 북측 가족 207명을 만난다.
작년 9월 26일∼10월 1일 이산가족 상봉 이후 처음인 이번 행사는 지난 9월 추석을 앞두고 북한 조선적십자회가 돌연 제안해 마련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