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혼재…낙관적 기대ㆍ시위용ㆍ정세악화로 전환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전격 방중이 남북관계 풍향을 바꿔놓을지 주목된다.
9개월 만에 방중 길에 오른 김 위원장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비롯해중국 지도부를 만나 어떤 식으로든 핵 문제와 남북관계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은 김 위원장의 방중 목적이 베일에가려져 있는 만큼 편차가 큰 편이다.
김 위원장이 새로운 돌파구를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과 오히려 정세가 더욱 악화하는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시각이 혼재하고 있다.
단순 시위용일 뿐 기존 남북관계에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주요 매개는 핵 문제에 대한 김 위원장의 태도변화 여부다.
북측으로서는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해서는 태도를 바꾸기 쉽지 않은 만큼비핵화 문제로 국면전환을 꾀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김 위원장이 후진타오 주석을 만나 핵 문제에 대해 긍정적 조치를 발표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수용 같은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배경에는 식량난 타개와 내년 강성대국 진입을 앞두고 중국을 필두로 한국제사회로부터의 경제지원이 절실한 북한의 내부사정이 자리 잡고 있다.
이를 통해 '남북 비핵화 회담→북미대화→6자회담' 3단계 안에 시동을 걸고, 미국으로부터 대규모 식량지원을 이끌어내는 한편 남북 간에도 적십자회담 등 대화모드를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 위원장이 핵 문제와 관련한 긍정적 조치로6자회담과 미국으로부터의 식량지원, 남북대화 등 '1타3피'를 모색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오히려 정세가 악화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김연철 인제대 교수는 "핵 문제와 관련한 3단계 접근법이 난관에 부닥친 상황에서 북중 간에 협의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면서 "김 위원장이 '우리도 할 만큼 했다'는 입장을 중국 측에 설명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남측이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를 비핵화 회담에 사실상 연계시키고, 비핵화와 관련해서도 '비핵화를 국제사회에 확고히 합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중국 측에 이해를 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남북관계가 변곡점을 맞을 수 있고, 이는 관계 개선보다는 정세 악화 쪽으로 기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방중이 북중 경협 강조를 통한 대남 및 대미 시위, 압박용이라는 분석도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이번 방중에서 남북관계와 6자회담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할것"이라면서 "북중 경협 강화 과시를 통한 시위 효과 이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전망했다.
그는 사실상 비핵화 회담의 조건으로 내걸린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해 김 위원장이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와 같은 위기감을 느끼지 않으면 사과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