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담뱃값 인상, 담뱃갑 흡연경고그림 입법 추진, 충격적 금연광고 집행 등이 확산되자, 젊은 층을 흡연자로 끌어들이기 위한 담배회사의 마케팅도 점차 교묘해지고 있다.
편의점 담배광고는 계산대 바로 옆이나 또는 진열대 위에 눈에 띄게 설치함으로써 편의점 안팎에서 담배와 광고가 쉽게 노출되게 하고 있다.
현행법상 외부에서 담배 및 담배광고가 보이지 않게 하는 것만 명시되어 있는 애매한 규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취재 결과 담배광고의 지나친 노출은 특히 청소년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기자가 만난 고교생은 “풍미와 다양한 맛을 자랑하는 담배광고를 보면 한 번쯤은 피워보고 싶다”고 말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담배회사의 사회공헌으로 포장된 블랙CSR(위선적 사회공헌활동)이다.
최근 담배 대중광고와 판촉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자, KT&G 등 담배제조사는 문화활동, 흡연에티켓, 공모전, 장학사업, 복지사업 등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이 담배회사의 이미지와 평판을 높여 간접적으로 판매를 늘리려는 일종의 유사 공익연계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이라고 지적한다.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은 장기적인 판매촉진을 위해 공익을 덧씌운 블랙 CSR에 불과하다는 것.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KT&G 상상마당 등 담배회사의 CSR이 청소년이나 젊은 층을 잠재고객으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흡연은 이제 개인적 문제가 아닌 지역·국가적 문제로 확대됐다. 정부는 흡연율을 대폭 낮추기 위해 담뱃값을 두 배 가까이 인상했지만, 정부와 담배회사의 곳간만 불린 꼴이 됐다.
지금이라도 담배회사는 교묘한 마케팅활동을 지양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청소년과 청년층을 겨냥한 담배 판촉활동을 강력하게 규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