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16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금요수필
일반기사

[금요수필] 행복을 찾아서

박경숙
박경숙

친구가 곧 산골로 이사를 한다. 그곳에 학교를 짓고 싶어서란다. 20여 년의 의사 생활을 그만두고 가족 모두 떠난다. 그녀를 만나 왜 그런 선택을 했냐고 물었다. 그녀는 “더 행복하고 더 재미있게 살기 위해서”라고 했다. 은행 융자는 많이 걱정 되지만 더 늦기 전에 소외 된 이들과 더불어 나누고 공감하며 살기 위해 용기를 냈다고 했다.

학창 시절 ‘괴짜’라는 소리를 듣던 친구다. 가진 게 별로 없는 고학생이면서도 오페라를 즐겨 찾았다. 낮에는 아르바이트하고 밤에는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렇게 대학을 졸업한 뒤 야학을 같이했던 선배와 결혼했다. 주변 사람들이 모두 걱정하는 가약佳約이었지만 부부는 여전히 깨가 쏟아졌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인간은 행복해지려고 산다.’는 어느 문화심리학자의 글이 떠올랐다. 그의 말에 의하면 ‘행복은 하루 중에서 기분 좋은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나는 많이 웃고 재미나게 사는 삶이 행복이라는 그의 말에 고개를 끄덕였다. 행복은 거창한 것도 대단한 것도 아닌 이른 아침 구수한 된장국이나 오후의 산책처럼 소박해야 한단다. 침대에 하얀 시트 깔고, 호텔식 샹들리에로 조명을 바꿨을 때 느끼는 행복. 그 행복을 얻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한 뒤 월급봉투를 포기하고 아내로부터 하얀 침대 시트를 얻어냈다고 한다.

비우면 맑아지는 걸까. 주변을 돌아보면 행복한 사람들은 소소한 일상에서 확실한 행복을 찾는다. 항상 스스로에게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할 수 있을까’를 묻는다. 그 물음을 통해 구체적인 답을 얻고 실천한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돈을 벌까. 어떡하면 유명세를 탈까에 집착하지 않는다. 행복을 얻기 위해 기존의 것을 버리고 용기 있게 선택한다.

며칠 전, TV 인간극장 프로그램에 대기업에 다니다가 명퇴한 50대 남자가 나왔다. 그는 지금까지 좀 더 높은 보수와 더 많은 여가가 주어지는 직장으로 끊임없이 옮겨 다녔다고 했다. 그런 어느 날 퇴근길 쇼윈도에 비친 자기 얼굴이 낯설게 느껴지더란다. 영화 관람과 소설책을 좋아했던 그 소년은 어디로 갔을까?

어렵게 취직한 직장에서 청춘을 바쳐 치열하게 살았지만, 어느새 중년이 되고 말았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면서 도대체 행복한 인생은 언제 시작 되느냐며 “성공해야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해야 성공한 것”이라고 씁쓸한 미소를 지었다.

내 책상에는 어느 해 가을, 우리 가족이 고창 선운사로 소풍간 사진이 놓여 있다. 사진 속의 나는 파란 줄무늬 원피스에 흰 모자를 쓰고 두 아이를 꼭 껴안고 있다. 초등학생 딸아이는 내 손에 턱을 괴고 유치원생 아들은 사진 찍는 아빠를 향해 찡끗 윙크를 날린다. 나는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도시락을 싸고 새우튀김을 만드느라 밤을 꼬박 새워도 행복했다.

꽃무릇 양탄자가 깔린 숲에서 김밥을 먹다가 사진기를 잃어버려 일회용 카메라로 찍으면서도 좋았다. 나는 그때 별것도 아닌 일에 참 많이 웃고 즐거워했지만 그것이 행복인 줄 몰랐다. 새봄을 맞아 내가 무엇을 할 때 가장 행복한지, 더 재미있는 삶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수첩에 적어보려 펜을 든다. 많을 것 같았는데 막상 펜을 드니 적을 게 없다. 달빛이 창에 비쳐 방 안이 환하다. 머리맡 창문을 활짝 여니 미풍이 건들거린다.

 

△ 박경숙 수필가는 <계간수필> 에서 등단하였다. 전북문인협회와 행촌수필, 영호남수필, 계간수필문우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전북수필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