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50+ 나도 PD다”

image
김사은 전북원음방송 PD

대학졸업 후 일 년여 남짓 서울 생활 접고 전주에 정착한 지 35년, 털끝만큼도 서울 생활 동경하지 않고 지방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며 성실한 시민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자부한다. 

두 어번 직업이 바뀌기는 하였으나, 내 고장에 대한 애정은 변함없으며 이곳의 땅과 물과 바람을 사랑한다. 내가 하는 일의 시작은 지역이며 지향점 역시 지역의 이웃과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것이기에 나의 관심은 온통 지역으로 천착된다. 

지역방송의 라디오 PD로서 이왕이면 좋은 말, 좋은 생각을 더하고 실천을 독려하고 있다. 분별하지 않고 시비를 가리지 않아서 또한 내 적성에 맞는 것 같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유와 성찰을 돕는 일도 중요하다. 

올해 1월 2일부터 전북원음방송 로컬프로그램 <행복한 응접실 김사은입니다> 제작 진행을 맡아 새롭게 기획한 코너 중 '50+ 나도 피디다'라는 방송은 전주시 평생학습관에서 실시하는 '50+ 어른학교' 프로그램가운데 시민라디오 교육 수료생이 만드는 퍼블릭 액세스 프로그램이다. 시민들의 참여를 위해 원음방송의 문을 열었다. 매주 화요일 전주평생학습관의 라디오 커뮤니티 1기 2기 회원들이 다양한 지역 소식을 가지고 찾아온다. '행복한 응접실 김사은입니다' 생방송과 함께 유튜브로도 제공된다.  

나는 PD로서 구성 제작 진행의 과정에 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그분들의 이야기를 담아드리고자 한다. 인터뷰 녹음 과정이나 편집이 다소 서툴기는 하더라도 이 역시 진정성에 무게를 두고 숨소리까지도 귀 기울였다. 

전주시평생학습관 낭독프로그램을 통해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CD를 제작하여 전달한 사연을 시작으로 설 명절을 앞두고 환경미화원의 노고와 애환을 담은 ‘엄동설한 달빛아래 선 거리의 천사’, 생활지원사, 작은 도서관 등 알찬 소식이 쏟아졌다.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상식 현장 취재도 다녀와서 수상소감도 생생하게 전했다. 

노송동 얼굴 없는 천사 편을 방송할 때는 ‘다소 진부한 소재가 되지 않을까?’라는 나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새롭고 감동적인 내용이 펼쳐졌다. 동장님 인터뷰에는 (라디오임에도) 뭉클함이 전해졌다. 인근 주민들의 자긍심은 매우 높은 편인데 특히 세탁소 주민은 “천사의 마을에 살고 있으니 나도 좋은 일을 해야겠다는 마음으로 깨끗한 돈이 들어올 때마다 이웃 돕기에 쓰려고 따로 모은다.”라고 말해 큰 감동을 주었다. 아, 이렇게 착하고 순한 이웃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어 얼마나 좋은지.

지난 14일 방송에서는 새 학기를 시작하는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에 대한 내용이 전파를 탔다. 마냥 신나기만 할 것 같은 신학기, 말도 설고 문화도 어색한 다문화 가정 특히 어머니의 애환이 새롭게 다가왔다. 특히 외국인과의 재혼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중도에 입국한 아이들은 적응하기가 더욱 쉽지 않은데, 이 부분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방문팀의 역할이 크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표면적인 사회문제를 심층적이고 다각도로 접근하고 풀이하는 능력은 커뮤니티 회원 개개인이 갖고 있는 사회적 역할에서 기인한다. 현장요원, 자원봉사 등 다양한 형태로 각자가 처한 사회적 현상을 인식하고 이를 방송으로 담아내고 있기에 어떤 점에서는 더욱 깊이가 있다고 본다. 순수하고 진정성이 있다. 따뜻하고 정겹다. '50+ 나도 피디다' 어떤 내용이 전개될지, PD인 나도 궁금해진다. 

/김사은 전북원음방송 PD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