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거물 없는 전북정치

image

국힘으로 정권이 넘어가면서 전북 정치가 더 쇠락해졌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거대 여당을 등에 업고도 대선 때 0.73%로 패한 이후 대장동 개발과 관련, 연이어 사법리스크에 발목이 잡히면서 야당 역할을 못하고 있다. 초재선으로 짜인 전북 정치권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리더가 없어 각자도생하기에 급급, 지리멸렬한 상태다. 문재인 정권때가 춘삼월 호시절이었지만 정치력이 워낙 약해 전북 현안이었던 남원공공의대 설립이나 제3금융중심지 지정 문제를 풀지 못했다.

통상 국회가 선수(選數) 중심으로 운영되지만 초선도 정치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제 몫을 찾아올 수 있다. 의석수가 10석인데다 정치적 영향력이 별로인 의원들로 전북 정치권이 짜여져 중앙정치 무대에서 전북 정치권이 있는지 없는지조차 모를 정도다. 열린우리당 시절 정동영 전 의원이 당 대표를 맡아 운영할 때는 국회를 쥐락펴락하는 바람에 다른 당 의원들까지도 지역구 현안 해결을 위해 정 대표를 찾아 나설 정도였다. 

국힘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지면서 국힘 정운천 의원이 김관영 지사를 협치라는 이름으로 돕지만 당내 윤핵관 등 실세그룹의 견제가 보이지 않게 작용, 정권초기 때보다 약발이 떨어졌다. 특히 지난 전주 완산을 4.5재선거 때 국힘 김경민 후보가 6명 중 5등으로 완패해 내년 총선 출마를 노리는 정 의원한테도 큰 부담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정 의원이 전북특별자치도를 만들어낸 여파를 몰아 완산을 재선거에 출마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않고 김 지사와 협치를 통해 그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 총선으로 기회를 넘긴 게 패착이었다고 분석한 사람도 있다.

지금 김관영 지사가 무기력했던 전북에 새 바람을 불어넣었지만 전북 정치권의 도움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거의 개인의 정치적 역량에 의존, 현안 해결에 나서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재선의 안호영·김윤덕 의원이 지사 경선 때 일합을 겨뤘고 군산 신영대 의원과 강임준 시장이 지사선거 때 엔티여서 군산에서 김 지사 득표율이 가장 낮았다. 다행히도 김 지사가 백년 먹거리에 해당한 이차전지를 새만금으로 유치하려고 전북 정치권을 한데 끌어모아 유치에 성공하면서 그의 정치적 위상이 크게 강화됐다. 김 지사는 지난 1년 송하진 전 지사가 추진했던 기업유치업무를 승계하면서 그 누구도 예상 못한 이차전지특화단지를 새만금으로 유치하는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수 도민들은 정치력이 별로인 현역들을 또다시 국회로 보낸들 무슨 대수가 있겠느냐 면서 무기력하고 존재감 없는 현역들을 팽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사법리스크에 얽매인 이재명 대표의 눈치나 살피면서 방탄조끼 역할 하는 현역들을 대거 물갈이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지금 당 혁신위원회가 구성 운영되지만 그들이 오히려 혁신 대상이라고 꼬집는 사람도 있다. 전북 정치권의 위상이 최약체로 도토리 키재기식이어서 강원도나 충청권처럼 갈아엎을 때는 인정사정 없이 갈아엎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아무튼 전북이 꼴찌를 탈출하려면 정치력이 약한 도토리급 현역들을 갈아치우는 수밖에 없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 

백성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