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정거장 대합실에 앉아
가는 사람 쳐다보고
오는 사람 쳐다보는데
가슴으로 젖어오는 바람소리
엊그제 같은 그 옛날
점심때를 알리는 소방서 오포 소리
그립다.
- 저 풍남동 은행나무 골목에요
- 지금은 한옥마을 문턱입니다
아! 저기 저 집이 나 살던 옛집인데
마당 구석에서 쑥불 타는 매캐한 연기
엄니는 거적대기 깔고 앉아
기왓장 가루로 놋그릇 닦으시고
우리는 평상에 누워 강냉이를 먹었지
하늘을 덮을 듯 키 큰 은행나무
최씨 문중 청지기가 사는 세 칸 기와집
높은 토방 감싸듯 뻗은 뿌리
멀리서 온 타관 아줌씨
기린봉 굿쟁이 무당
시루떡에 촛불을 켜고
아들 며느리의 손자 점지를 빌고
가족들의 소원성취를 빈다
앞 골목 안창으로 들어가면
혼불 소설 쓴 최명희 소설가집이고
몇 발짝 걷다보면
흙돌담 안에 정원수가 꽉 차있고
기둥만 보이는 커다란 기와집이 몇 채인가
쉬엄쉬엄 걷다보면
철대문 집 벽돌담에는 오색돌 문패
나무대문집 나무기둥에는 나무문패
양철대문집 문짝에는 나무문패가 있었지
갓길 채전밭 옆길로 들어서면
가람 이병기 시조 시인의 집 양사재 위로
오목대 산기슭이 미끄러져 내려온다
한나절 걸어온 뒷길을 돌아보고
전주천 제방 밑으로 내려가
흐르는 물 한웅큼을 떠
가슴에 안았다
남부시장 할매집에 들어가
선지국 한 뚝배기 사먹고
경종배추 묵은지 서너포기 사고
모싯잎 송편도 한무데기 사들었다
초여름 한낮은
아직 한뼘이나 남았는데
마주쳐 오는 누군가
고향맛을 물어보면
그냥 웃을까
△ 일찍이 전북의 문화예술을 유달리 사랑하셨던 시적 화자의 절절함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작품이 길어 ‘몹쓸 <중략>’이 많다. 이 코너의 지면이 한정적이어서 작가와 독자의 넓은 마음에 기댈 수밖에 없다. 꼭 찾아 읽어보시라고 인터넷 전북일보에는 전면을 탑재한다. 읽는 내내 아릿한 그리움과 애틋한 사랑은 우리를 순수의 세월로 데려갈 것이다. / 김제 김영 시인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