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을 48일 앞두고 여야는 대선 채비에 분주하다. 국민의힘은 10여 명의 후보들이 대선 출마 뜻을 밝혔고 더불어민주당은 16일부터 충청권 합동설명회를 시작으로 영남권, 호남권, 수도권을 거쳐 27일 대선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급박하게 돌아가는 형세다. 전북자치도도 이에 대응해 차기 정부정책의 방향과 전북의 성장동력을 끌어 올릴 정책들을 발굴해 제시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9개 분야 74개 전략사업이 포함된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가 그중 하나다. 총사업비는 65조원 규모다.
이중 전북의 정체성과 관련된 후백제 복원사업은 어느 사업 못지 않게 중요하다. 비단 전북뿐만 아니라 전남, 경남북, 충청권을 아우르고 있어 더욱 그러하다. 그 중심에 900년에서 936년까지 37년간 왕도였던 전주가 자리한다. 사실 후백제는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오는 길목에서 다이나믹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일찍 패망하는 바람에 공백의 역사가 되었다. 특히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전주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해 후백제의 역사를 지워버렸다. 전주 궁성내 건물과 서적을 불태우고 기반시설을 철저히 파괴했다.
하지만 역사의 흔적은 봄새싹처럼 살아남아 전주 동고산성과 최근 발굴된 종광대 등을 남겼다. 이러한 유물 유적은 전국적으로 121곳에 이른다. 이에 앞서 2023년 국회에서 <역사문화권정비법>이 통과돼 후백제가 고구려, 백제, 신라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이어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제 고도(古都) 지정을 눈앞에 두고 있다. 고도는 2004년에 경주, 부여, 공주, 익산이 지정되었고 2024년 고령이 대가야의 수도로 고도에 진입했다. 전주가 고도로 지정되기 위해선 후백제 도성과 왕궁지 유적 발굴, 그리고 도민의 공감대가 확산되어야 한다.
전주의 고도 지정과 함께 기존 3개도 7개 시군으로 구성된 후백제지방정부협의회도 외연을 넓혀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후백제 유물유적을 하나로 묶는 ‘후백제 복원 프로젝트’를 이번 대선공약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2022년 대선때 이재명 캠프에서 전북지역 공약으로 채택한 바 있다. 이번에는 민주당뿐 아니라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공약에 포함시키도록 노력했으면 한다. 영호남과 충청권이 화합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국책사업으로 이만한 게 드물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