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완주 들꽃마을에 홀릭 '시인 이장' 심옥남

올해로 4년째 '들꽃마을' 이장 활동 중인 심옥남 시인
2021년 덕천리 구암마을 소속 하늘빛 들꽃마을서 분리 독립
이듬해 이장으로 선출,올해 연임하며 '주민 화합'에 힘써
심 시인 "마을 지탱해주는 주민들 덕분에 이장 연임 가능 감사"

image
심옥남 시인. 사진=박은 기자 

 

심옥남(64)은 별(別)스럽게 사는 시인이다. 1998년 등단하자마자 미친 듯이 시를 써 1년 만에 첫 시집을 냈고,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하는 재미를 터득했다. 공부에 전념하던 와중에도 학생들을 가르치며 끊임없이 무언가를 했다. 

그리고 2017년 우연한 계기로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들꽃마을로 터전을 옮겼다. 평소 전원생활을 꿈꾸었던 시인은 담장 없이 조용하고 아늑한 마을이 마음에 들었다. 집과 집 사이 나무, 가지에 달린 푸른 잎의 표정들이 눈에 들어왔다. “딱 봤는데 너~무 좋은 거예요!” 그렇게 들꽃마을과 사랑에 빠진 심 시인은 올해로 4년째 들꽃마을 ‘이장(里長)’으로 활동하고 있다. 

들꽃마을은 지난 2009년 완주군이 계획관리지역으로 조성한 마을이다. 2021년 1월 1일 덕천리 구암마을 소속 하늘빛 들꽃마을에서 들꽃마을로 분리 독립돼 현재 21대 5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시인은 마을이 구암마을에서 분리 독립한 이듬해부터 들꽃마을 이장을 맡고 있다. 각종 문학상을 휩쓸며 지역문단에서 왕성히 활동해 온 시인이 이주민의 핸디캡을 극복하고 마을 이장이 된 비결이 뭘까. 지난 23일 마을에서 만난 심 시인은 어려움을 이겨낸 비결로 ‘끈끈한 공동체’를 꼽았다.  

처음부터 화합했던 것은 아니다. 주민들이 함께 모일 장소도 마땅치 않았고, 만남 장소가 결정되더라도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시인은 마을의 대소사를 메신저로 전송했다. 마을청소 날짜부터 완주군 지원 사업까지 주민이 알아야 하는 마을일을 한 달에 두 번씩 공유했고 자연스레 주민들도 마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변화가 생기다보니 들꽃마을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마을회관이 필요했다. 하지만 마을회관 건립은 마음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다. 마을 공유 부지를 일부 주민들이 개인 명의로 해놓으면서 증여를 받아나가는 작업이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들꽃마을회로 부지 이전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얼굴을 붉혀야 하는 상황도 마주할 수밖에 없었다.  

역설적으로 시련이 닥치니 시인과 주민들은 똘똘 뭉치게 됐다. 서로에 대한 배려와 감사, 미안함이 한데 어우러지며 한층 가까워지는 단초로 작용했다. 화합을 위해 열렸던 가족음악회 행사는 주민들이 모두 함께 즐겼고, 단출했던 반상회 인원들도 늘면서 마을행사로 확장됐다. 

시인은 “자신이 특별히 무언가를 ‘잘해서’ 이장을 맡고 있는 건 아니다”며 “마을이 좋고 마을 사람들이 좋아서 이장 일을 맡게 됐고, 이장 연임도 결국은 들꽃마을을 지탱하는 주민들 덕분”이라고 감사함을 전했다. 

40분가량의 인터뷰를 마친 뒤 문득 이장의 역할이 뭘까 고민했다. 지금껏 이장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래서 들꽃마을 이장 심옥남이 유독 특별했다. 마을은 사람과 사람이 소통하고, 협력해야 발전하는 힘이 발휘된다고 믿는 열정만랩 이장을 만났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