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윤기묵 시인, 시와 산문으로 ‘기억의 복원’을 노래하다

윤 시인 시집 '곰팡이도 꽃이다', 역사에세이 '교하와 염하 사이' 동시 출간
다른 형식의 속 과거 되짚고 기억 복원하는 ‘시간의 문학’이라는 공통된 문제의식 담아

시인 윤기묵이 시집과 산문집 두 권의 신간을 나란히 펴냈다. 푸른사상 시선 206번으로 출간된 시집 <곰팡이도 꽃이다>와 같은 출판사의 산문선 58번으로 나온 역사에세이 <교하와 염하 사이: 한강 하구 조강 이야기>다.

형식은 다르지만 두 책 모두 과거를 되짚고 기억을 복원하려는 ‘시간의 문학’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에 두고 있다.

image
곰팡이도 꽃이다 표지/사진=교보문고

시집 <곰팡이도 꽃이다>에는 시인이 과거를 성찰하고 기록하며, 새로운 역사의 진행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식이 녹아 있다. 윤 시인은 정약용의 말을 빌려 “나라를 걱정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고, 시대를 슬퍼하고 세속을 개탄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며, 역사가란 결국 승자의 기록이며 기억을 둘러싼 쟁투의 결과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그렇기에 역사란 권력을 쟁취한 이들의 전리품일 수도 있다는 비판적 시각에서, 시인은 역사의 교훈을 맹목적으로 따르기보다는 그 안에 담긴 허위와 기만을 드러내고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시인의 시선은 이름 없는 존재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노래한 시들로 이어진다. 곰팡이도 결국 꽃을 피워 간장을 띄우고 술을 빚듯, 낡고 버려진 것 속에서도 생명이 움트는 경이로움을 포착하고 있다.

이병국 문학평론가는 해설에서 “지난 역사를 반성하고 그로부터 얻은 교훈을 통해 우리의 어리석음을 부끄러워하며, 이를 바탕으로 모든 존재를 포용해 새로운 역사를 기록해갈 의무가 우리에게 있다”며 “앞으로의 역사는 그렇게 다시 쓰여질 것이라는 메시지를 윤 시인은 이번 시집을 통해 전하고 있다”고 평했다.

image
교하와 염하 사이 표지/사진=교보문고

역사에세이 <교하와 염하 사이>는 김포를 중심으로, 파주 교하에서 강화 말도까지 이어지는 한강과 조강 유역의 지리와 역사를 탐색한 책이다. 조강은 한강과 임진강이 합수하는 교하에서 시작해 김포와 강화를 지나 예성강이 합류하는 교동도 앞 말도까지 흐르는 물길을 뜻한다. 이 물길은 한성 백제의 위례성, 고려의 개경, 조선의 한성을 잇는 한반도 역사의 큰 흐름과 함께해왔다.

책은 ‘조강물참’, ‘갑비고차’, ‘평화누리’ 등 3부로 구성돼 23편의 이야기를 통해 시간의 층위를 따라 공간의 기억을 복원하고, 우리가 지나쳐온 땅의 역사를 어떻게 계승해야 할지 묻는다.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지역의 숨은 이야기들이 윤 시인의 시선으로 되살아난다.

윤 시인은 “현대에 이르러 조강은 남북한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립수역이 됐다”며 “지금은 군사분계선을 나타내는 부표만 강물 위에 떠다니지만, 언젠가는 배를 띄워 조강을 건널 날이 꼭 오리라 믿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통일 한국이 오면 조강과 김포는 다시 한반도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현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