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청, 대학, 기업 등 업무협약 통해 새만금서 산업 생태계 기반 마련
전북특별자치도가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제도의 첫 적용 분야로 선정된 헴프(의료용 대마) 산업의 지역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나섰다.
전북자치도는 17일 서울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새만금개발청, 전북대학교·원광대학교 등 지역대학, ㈜유한건강생활·㈜버던트테크놀로지·상상텃밭㈜ 등 주요 바이오 기업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1호 헴프 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새만금을 헴프 기반 바이오 신소재 산업의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육성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의미가 있다.
글로벌 메가샌드박스는 기존 규제자유특구나 규제샌드박스가 개별 기업·개별 사업 중심 특례에 머문 한계를 보완해 광역 단위 대규모 첨단산업 유치를 허용하는 포괄적 규제특례 제도를 말한다.
협약을 통해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 등 참여 기관들은 △헴프산업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 △규제 특례 발굴 및 법제화 검토 △재배실증·기술개발·인력양성·GMP 시설 구축 등 특구 조성 협력 △투자유치 및 글로벌 수출시장 확대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조성 등 5개 사항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공동 협의체를 구성해 규제특례 검토, 애로사항 해소, 사업 추진현황 점검 등을 함께 추진하며 필요 시 실무협의회와 TF도 병행해 운영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새만금이 국내 첫 ‘헴프 산업 메가샌드박스 특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헴프 산업 기반 바이오소재 개발을 비롯해 GMP 기반 의약·건기식 제조 인프라 구축,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으로 국내 헴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끌어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조홍남 개발청 차장은 “이번 협약은 국정과제 이행을 신속하게 뒷받침 하기 위해 정부와 학계, 민간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혁신적인 산업 협력 모델이다”면서 “헴프 산업은 농업, 바이오, 의료, 소재 등 다양한 산업과 결합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새만금은 물론 국가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김관영 지사는 “이번에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헴프 산업을 미래 전략 산업으로 키우는 첫 걸음을 내딛게 됐다”며 “새만금을 중심으로 규제혁신·기술개발·수출 기반을 모두 갖춘 국가 대표 헴프 산업클러스터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호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