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중 기자(정치부)
임기 중 절반을 서울에서 활동하겠다는 김완주 지사의 상경행보가 바쁘다.
김 지사는 8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전국시도지사 초청 토론회에 참석,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다. 이어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 참석한 후 오후에는 여의도서 전북출신 의원들과의 당정협의회도 가졌다.
여당이 참패한 5.31지방선거 이후 처음 열린 청와대 토론회에서 유일한 여당소속인 김 지사는 작심한 듯 수도권 중심 성장의 한계를 지적하고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 모델을 제시했다.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전도사가 된 모습이었다.
노무현 대통령도 모두 발언을 통해 “균형발전을 놓고 수도권과 지방 사이에 다소의 대립과 갈등이 있는 것 같다”며 “당장의 이익보다 멀리보면 수도권을 위해서도 균형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분히 수도권의 한나라당 소속 서울시장, 경기지사, 인천시장을 의식한 말이다.
실제 민선 4기 경지도지사에 당선된 김문수 지사는 취임 일성으로 수도권 규제완화를 골자로 하는 ‘수도권 대 통합론’을 펼쳤다.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이다. 김 경기지사는 자신의 발언과 관련한 비수도권의 반발에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수도권 규제와 관련된 언쟁과 토론은 없었지만 비수도권 광역단체장들은 말만 나오면 ‘한판’ 붙을 채비를 했다는 후문이다. ‘수도권 대 통합론’에 대해 느끼는 위기감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수도권 대 통합론’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참여정부의 임기가 1년 반 가량 남은 점을 감안하면 수도권의 ‘이기주의’는 시한부성 잠복이다.
김완주 지사에게는 그래서 숙제가 하나 더 주어진 셈이다. 바로 김 지사가 참여정부와 여당의 유일한 적자로서 수도권 규제의 선봉장이 되는 길이다. 다른 당 소속의 비수도권 시도지사를 ‘수도구너 대 통합론’ 반대 전선의 동지로 믿는 것도 좋지만 정치는 그런 믿음을 허락치 않아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