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철 기자(남원주재)
전북도와 남원시 사이의 불평등한 사무관 인사교류를 놓고 남원지역 공직사회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도청 공무원들의 승진잔치에 들러리만 서고 있다는 말에서 남원시청이 전북도의 사무소로 전락한 것 아니냐는 주장까지 그동안 쌓이고 쌓인 불만이 활화산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불만을 ‘염불보다 잿밥에만 관심 있는 배 부른 소리’쯤으로 치부하기도 하지만 사실 내막을 들여다보면 충분히 이해가 간다.
남원시에 전입해 있는 도청 사무관은 11명으로 남원시 전체 사무관 50여명의 20%를 점하고 있다. 특히 이는 남원보다 규모가 몇배나 큰 전주나 군산, 익산보다도 2-3배 가량 많은 숫자이고 정읍, 김제보다 무려 5배 이상 많다.
시.군 통폐합으로 인사적체가 심한데다 승진 자리의 20% 가량이 도청 사무관으로 채워지다보니 공무원의 꽃이라는 사무관 승진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렵다.
실제 남원시는 6급에서 5급 승진에 걸리는 기간은 평균 15년 이상으로 전북도나 정읍시, 김제시에 비해 최고 2배 가량 늦다. 그러다보니 전체 공무원의 90% 이상이 사무관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정년을 맞게 된다.
도청 사무관들이 대거 남원지역에서 근무한다고 해서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2-3년 내에 다시 도청으로 복귀해야 하는 만큼 무사안일과 복지부동한 업무로 오히려 위화감만 조성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관선시대도 아닌 지방자치시대에 불공평한 인사교류 때문에 공무원들이 의욕을 잃고 능력 발휘할 기회조차 잡지 못한다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이는 결국 시민들의 피해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번만큼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