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타향에서] 귀촌·귀농정책이 답이다

조남조 (한국사료협회 회장·전 전북지사)

 

 

농촌인구가 점점 줄고 있다. 우리 전북의 경우 필자가 도청에 근무했던 1995년에 202만명 수준이었으나 15년이 지난 현금에는 187만명으로 집계되었다. 15년 사이에 15만명이나 줄 은 것. 평균 매년 1만명이 감소하는 꼴이다.

 

심각한 현상이다. 특히 익산시의 경우에는 인구감소가 지역구 국회의원 1명을 상실하는 요인으로 몰아갈 위기에 놓여있다. 지난 18대 선거에서의 지역구 획정은 인구 31만명을 기준으로 분할하였으나 올해 5월말 기준 익산시 인구는 30만7588명으로 나와 있다. 익산시에서는 고육지책으로 전입하는 사람에게 20만원씩 보조하겠다는 비책을 검토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수도권과 일부 도시지역을 제외하고 농촌을 품고 있는 지자체들의 인구감소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들은 주민 확보를 위해 각가지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 출산장려를 비롯하여 관내 대학생과 근로자들의 전입 유인,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창출 등이 주로 거론된다. 이런 방안은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 현상이다.

 

상대적으로 농촌지역이 많고 청정산림이 풍부한 전라북도의 입지(立地)에 맞는 인구증가 방책은 무엇인가.

 

필자가 보기엔 강력한 귀농 귀촌정책이 답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의 실업률은 3.6%이고 특히 청년실업률은 8%를 상회하고 있다. 주로 도시에서 방황하고 있는 무직 상태의 청년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면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선 노령화되어 있는 농촌 산촌에 지도급 인사를 충원하는 것이고 또 이들이 정착한다면 정적만 흐르는 농촌에 아기울음 소리를 되살릴 것이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전국적으로 보면 귀농 귀촌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2001년에 880가구에 불과하던 것이 2010년에는 4,067가구(9,732명)로 늘어났다. 전라북도의 경우 지난 한해에 611가구 1,511명이 정착한 것으로 통계에 잡혀있다. 경북(1,112가구) 전남(768가구)에 이어 세 번째 많은 도에 속한다.

 

귀농인구를 전국 제일로 끌어올릴 방안은 없는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보다 적극적이고 스마트한 정책을 강구하면 충분히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먼저 고려할 것은 다각적인 소득원 발굴이다. 장수사과처럼 고랭지 과일단지를 조성하고 익산 '하림'과 연계한 축산단지, 김제에서 파프리카 농장이 성공하듯 특용작물 재배사업, 점차 사라져가는 잡곡생산지, 식품클러스터와 연결되는 식품가공산업, 무주·남원·정읍 등지에 치유의 숲, 관광식물원과 자연휴양림 조성 등 등.

 

이런 프로젝트를 면밀하게 연구 개발하고 중단기 교육프로그램을 작성해서 도시지역에 대대적으로 홍보하면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자기돈을 많이 지참하지 않아도 참여할 수 있는 보조금 또는 융자제도를 활용하는 안내가 수반되어야 한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산림청·지자체·농어촌공사 등에 이와 관련된 예산이 책정되어 있다.

 

기실 무미건조한 도시생활에 염증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도 귀촌정책은 귀가 솔깃할 수 있다. 맑은 물이 흐르고 아름다운 새소리를 가까이 두고 있는 전북내륙의 산촌마을은 이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다. 이런 청정지역에서 텃밭을 가꾸며 살아가는 전원생활의 여건을 마련해 주는 방안도 생각해 봄직하다.

 

고려대학교 김동기 석좌교수는 우리나라가 올해에 무역 1조달러를 달성하면 GDP 1조달러, 주식총액 1조달러와 함께 트리플 1조달러시대가 도래한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런 추세로 가면 2015년경에 우리의 1인당 GDP는 3만 8,000달러에 도달해 미국이나 일본의 개인 소득을 따라잡게 된다는 예측도 나와 있다. 이때 쯤이면 전북에서 전원생활을 즐기려는 사람이 크게 늘어날 것이다.

 

/ 조남조 (한국사료협회 회장·전 전북지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⑥전북현대 가슴에 ‘왕별’ 반짝⋯우승 시상식 현장

익산익산경찰, 음주운전 집중단속

전북현대‘10번째 우승 대관식’ 전북현대, 전주성 극장으로 만들었다

전북현대[CHAMP10N DAY] ⑤함께 울고 웃었던 전북현대 팬들이 준비한 선물은?

익산익산 왕궁농협, 종합청사 신축공사 안전기원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