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좋았던 추억을 기리며

온정 베푼 네팔 주민들 / 지진의 아픔 극복하고 / 평온한 일상 되찾길…

▲ 김도연 前 전북대신문사 편집장
나는 지금껏 딱 한 번 해외에 나간 적 있다. 대학교 2학년 여름방학 때 해외봉사로 2주간 네팔을 다녀왔다. 봉사활동을 한 곳은 네팔사람들 조차도 잘 알지 못하는 네팔 남쪽에 위치한 어느 시골마을이었다. 그 곳에 위치한 국립학교에서 일주일 정도 봉사활동을 했다.

 

이후 포카라에 잠깐 머물고 네팔의 수도인 카트만두에서 KOICA의 주최로 이뤄진 한국문화축제에 참여했다.

 

네팔 곳곳의 도시를 다니며 든 생각은 ‘우리나라의 20~30년 전 모습이 이렇지 않았을까’였다. 서울과 부산보다 가까운 거리를 10시간 넘게 차를 타고 이동해야 했다. 도로는 산을 따라 구불구불 나 있었고, 그 옆으로는 아찔한 절벽이 있었다.

 

우기에는 산사태로 종종 고속도로가 막혀 몇 십 분을 도로 위에서 꿈쩍도 못하고 기다려야 했다.

 

시내 곳곳에는 동물과 사람이 자연스럽게 생활하고 있었다. 저녁에는 숙소에 전기가 끊기는 경우가 종종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주변에 불빛은 그리 많지 않았다.

 

그 덕에 네팔 곳곳에는 멋진 풍경들이 보였다. 저녁이 되면 하늘과 산의 경계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암흑이 펼쳐지고 그 속에 별빛과 불빛이 어우러져 있었다. 낮에는 높은 산맥들이 주변을 둘러싸고 있었다. 역사를 지닌 문화유산들은 도시 곳곳에서 네팔만의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다. 그 속에는 각자의 삶에 최선을 다하며 살아가는 네팔 사람들이 있었다. 이방인에게 따뜻한 찌야를 내어주는 이들에게 온정을 느낄 수 있었다. 그렇게 나의 첫 해외경험은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았다.

 

이런 추억이 이젠 기억과 사진 몇 장으로 남았다. 몇 주 전, 네팔은 강진이라는 자연의 재앙 앞에 속수무책으로 쓰러졌다.

 

2년 전 내가 보았던 네팔의 모습은 지진으로 사라졌다. 두 차례의 지진으로 8500명 이상의 사망자와 3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는 정확하게 파악된 수치가 아니기에 실질적인 피해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과 건물, 도로, 문화재 등 네팔 곳곳에 비극이 일어났다. 더불어 곧 시작될 우기로 피해복구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들을 돕기 위해 파견된 구조대원들도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열악한 상황 속에 피해복구는 쉽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지진 피해가 발생한 지 몇 주가 지났음에도 구호물품 하나 못 받은 오지의 마을들이 있다.

 

네팔의 대참사는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는 아니었다. 네팔은 지진이 발생하는 지형으로 과거에도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겪은 적이 있는 나라이다.

 

하지만 그들에게 지진을 대비하기란 쉽지 않을 일이었을 것이다. 방 한 칸에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이들도 있었고, 교육봉사를 하던 중 한 반에 지우개를 갖고 있는 아이가 하나 혹은 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지진 후 네팔을 찾는 손길이 지진이 일어나기 전부터 있었다면 피해를 조금은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구호를 위한 인력과 물자를 네팔로 보내고 있다. 지진 이전의 네팔로 돌아갈 수 있도록 이런 관심이 끊이지 않길 바란다.

 

네팔, 좋은 추억을 안겨준 나라다.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를 타며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다시 와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그 때 그 모습을 이젠 볼 수 없게 됐다. 타국에서 그들의 고통을 느낄 수는 없지만 그들이 하루 빨리 지금의 아픔을 극복하고 이전의 온정을 다시 되찾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